“정신질환은 사회질환… 24시간 응급서비스 정착”

입력 2019-12-15 18:13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우리나라 정신건강 허브로 우뚝 서야 한다” 지난달 26일 취임한 이영문(사진) 국립정신건강센터장의 말이다. 그는 기자에게 “센터는 우리 국민들의 정신건강 사령탑”이라면서 “정신질환은 곧 사회질환”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 센터장은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없애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야 올바른 정책 설정이 가능하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이 센터장은 “정책은 그냥 나오지 않으며 편견을 없애야 정책이 나올 수 있다”며 “치료에도 주안점을 둬야겠지만, 센터는 관료 조직이 아닌, 정신건강 문화 정착지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신질환은 사회적 질환이며 문을 닫고 있으면 안 된다”는 이 센터장의 주장은 일견 이해가 되지만 이를 위한 제반 조건, 특히 센터 내부 정비가 이뤄져야 한다. 그는 “구성원이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공부하도록 유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센터장은 24시간 정신질환 응급서비스의 정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는 “사회적 편견이 불식되려면 치료가 최선인데, 그러려면 응급 상황에서 초기치료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며 “강압적이지 않으면서 인권을 존중하는 균형 감각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정신질환 당사자가 센터 내원시 존중받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그에 걸맞은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다만, 이를 위한 경찰청의 유기적 협조는 아직 요원한 상황이다. 이 센터장은 “심장발작 환자와 급성기 정신질환자를 다르게 여기는 시각이 바뀌지 않으면 당사자의 인권존중이 어렵다. 고(故) 임세원 교수 사망 사건 이후 경찰이 사안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 같지만, 과잉이라고도 보인다. 정신장애인을 돕는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센터가 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소(NIMH)와 같은 기능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한국형 NIMH로 발전하도록 연구소의 기능을 키우고, 트라우마 사업도 더욱 확대돼야 한다”며 “현재 진료에 집중하고 있는 것에서 정신건강연구소, 트라우마, 정신건강사업부 등 조직 개편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는 병원의 중심이 질병에 대한 프로모션으로 이동할 작정”이라며 “우리 국민의 정신건강 정보의 중심이 되기 위해 향후 사회정보연구원과 정보의 취합 및 관리를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센터 자체 연구 역량 강화에 대해 이 센터장은 “지금까지의 연구테마는 연구자 중심의 테마로, 풀이 좁고 지나치게 MD(의사) 중심의 연구였다”라며 “사회학·사회복지학·간호학·문화 요소와의 접목을 비롯해 당사자의 시각 및 의료서비스 수요자 중심의 연구 활성화를 위해 내부 역량을 최대한 끌어 올리면서 직무 분석 재검토를 통해 재배치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양균 쿠키뉴스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