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유리건판 3만8000여점의 사진을 고화질로 디지털화해 11일부터 e뮤지엄(emuseum.go.kr)에서 공개한다고 밝혔다. 유리건판은 감광유제를 유리판에 발라 건조시킨 일종의 필름으로, 20세기 초 널리 사용됐다. 조선총독부는 이 기술을 이용해 당시의 문화재, 민속, 건축물 등을 기록하고 조사했다. 사진은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서울 숭례문, 중국 지린성 광개토왕릉비, 경복궁 근정전 전경.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은 일제강점기에 촬영된 유리건판 3만8000여점의 사진을 고화질로 디지털화해 11일부터 e뮤지엄(emuseum.go.kr)에서 공개한다고 밝혔다. 유리건판은 감광유제를 유리판에 발라 건조시킨 일종의 필름으로, 20세기 초 널리 사용됐다. 조선총독부는 이 기술을 이용해 당시의 문화재, 민속, 건축물 등을 기록하고 조사했다. 사진은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서울 숭례문, 중국 지린성 광개토왕릉비, 경복궁 근정전 전경. 국립중앙박물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