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비리로 수년째 내홍을 겪고 있는 경북 경주대와 서라벌대의 정상화를 위해 경주시민들이 나섰다. 두 대학은 김일윤 전 국회의원 일가가 학교법인 원석학원을 통해 사실상 소유하고 있다. 재단의 재산가치는 4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전 의원이 1992년 경주대 총장 재직시절 학교공금 53억원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되면서 부인인 이순자씨가 2009년부터 2017년까지 8년간 총장직을 맡았다. 2017년 교육부 종합감사에서는 50여건의 교육 관계법령위반과 교비 횡령이 드러났다. 교육부는 지난 2월 원석학원 8명의 이사 중 7명의 임원승인을 취소하고 임시이사 7명을 파견했다.
그러나 기존 이사진들이 잇따라 소송을 제기하면서 지난 7월 관선이사 4명이 사임해 의결정족수가 되지 않아 이사회 의결이 필요한 업무를 할 수 없었다. 이순자 전 총장은 지난 10월 1심 법원으로부터 ‘업무상횡령과 사립학교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 사회봉사 120시간을 선고받았다. 두 대학은 ‘재정지원제한대학’으로 지정돼 2021년까지 학자금 대출과 장학금 지원이 끊기는 등 존폐의 갈림길에 서 있다.
이에 경주시민들이 대학 정상화를 위한 시민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경주지역 시민사회단체와 시의원, 대학 관계자 등은 ‘경주대·서라벌대 정상화 및 경주경제 살리기 시민모임(이하 경경모)’을 지난 4일 출범했다.
경경모는 “경주대와 서라벌대는 10년을 끌고 있는 사학비리 종합세트”라며 “오랜 법정싸움으로 이사회 기능이 마비되고 재단의 지속적인 대학운영 방해 공작으로 학생들은 제대로 교육받을 기회조차 박탈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