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크게 줄었지만 스스로 목숨을 끊는 자살 사망자 수가 대폭 증가했다. 안전사고 사망자 수도 3년간 이어진 감소세를 멈추고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행정안전부는 10일 교통사고, 화재, 범죄,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 등 6개 분야별 지방자치단체의 안전수준을 나타내는 ‘2019 지역안전지수’를 공개했다. 연도별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2015년 3만1582명에서 2016년 3만944명, 2017년 2만9545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3만1111명으로 늘었다. 자살 및 법정감염병 사망자 수가 대폭 증가한 것이 큰 원인으로 분석됐다.
자살 사망자는 10대, 30·40대, 60대에서 크게 증가했다. 10대는 정신적, 30·40대는 경제적, 60대 이상은 육체적 질병 문제가 동기가 된 것으로 분석됐다. 감염병 사망자 증가는 C형 간염의 법정감염병 편입과 인플루엔자 사망자 급증이 주요 원인이었다.
4년 연속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줄어든 건 고무적이다. 특히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10.4% 크게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과 비교할 때 화재·범죄·생활안전은 양호한 수준이지만 교통사고·자살·감염병 분야 사망자 수는 OECD 평균보다 높다. 특히 자살은 OECD 평균과 배 이상 차이가 나 대책이 필요하다고 행안부는 지적했다.
지역별로 보면 교통사고는 특별·광역시 및 자치구가 OECD 평균보다 낮지만 군 단위는 4배 정도 높아 도농 간 격차가 컸다. 자살과 감염병은 모든 지역이 OECD보다 높았고, 특히 군 지역이 가장 취약했다.
광역자치단체 중 지역안전지수 분야별 1등급인 곳은 교통사고 분야는 서울·경기, 화재는 광주·경기, 범죄는 세종·경북, 생활안전은 부산·경기, 자살은 서울·경기, 감염병은 광주·경기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특히 광주시는 3개 분야(교통, 화재, 감염병)에서 2개 등급 이상을 개선해 광역단체 중 유일하게 하위 등급(4·5등급)이 없었으며 화재와 감염병 분야는 각각 3등급과 4등급에서 1등급으로 급상승했다. 경기도는 5개 분야(교통사고, 화재, 생활안전, 자살, 감염병)에서 1등급이었고 이 중 4개 분야는 5년 연속 1등급을 차지했다.
최하위 5등급 지역은 교통사고의 경우 세종·전남, 화재는 세종·경남, 범죄는 서울·제주, 생활안전은 세종·제주, 자살은 부산·충남, 감염병은 대구·강원이었다. 제주(생활안전, 범죄)와 세종(화재), 전남(교통사고), 부산(자살)은 특정 분야에서 5년 연속 5등급에 그쳤다.
행안부는 지자체에서 안전사고 사망자 등을 줄일 수 있도록 내년 소방안전교부세의 5%를 이번 지역안전지수 결과와 연계해 안전이 취약하거나 노력하는 지자체에 지원한다. 또 등급이 낮은 지자체에는 지역안전지수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역량강화 교육과 함께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한다. 아울러 내년부터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도 발전연구원 등과 함께 지수 분야별 특징을 토대로 해당 지역의 맞춤형 안전개선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진영 행안부 장관은 “지역안전지수는 지역의 안전수준을 과학적·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개선해 나가기 위한 것”이라며 “보다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자체 차원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