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징용 해법 ‘문희상안’ 국민 10명 중 4명 “반대”

입력 2019-12-09 19:30

국민 10명 중 4명은 문희상 국회의장이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해법으로 내놓은 ‘1+1+α(알파)’안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한·일 관계가 매우 나빠진 영향으로 일본을 우리나라의 우방으로 생각한다는 응답도 30%에 그쳤다.

국민일보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지난 5~7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43.5%는 한·일 기업 및 국민이 자발적으로 마련한 기부금으로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하자는 이른바 ‘문희상 안’에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방안이 일본 전범기업에 배상 명령을 내린 지난해 한국 대법원 판결을 이행하는 것과 거리가 있으며 일본 정부 및 기업의 사죄를 면제해준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일본의 수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찬성한다’는 답변은 33.6%로, 반대 의견과의 격차가 오차범위(±3.1% 포인트)를 벗어났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22.9%였다.

연령대별로는 30대(50.6%)에서, 성별로는 여성(41.8%)보다는 남성(45.2%)에서 반대 비율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제주(52.7%), 광주·전라(51.9%), 강원(49.0%), 서울(47.0%), 경기·인천(41.5%) 순으로 반대 의견이 많았다.

자신의 이념 성향을 ‘보수’라고 밝힌 응답자 가운데 40.1%가, 본인이 ‘진보’ 성향이라고 한 응답자 중에선 55.2%가 문희상 안을 반대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층에선 52.8%가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희상 안은 이번 주 법안이 발의될 예정이며 연내 통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달 말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갈등의 근원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빨리 해결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여론은 여전히 부정적인 것으로 확인된 셈이다.

국민 10명 중 6명은 일본을 우방으로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것 역시 강제징용 배상 문제로 촉발된 한·일 갈등이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 등으로 확대되면서 생긴 변화로 여겨진다.

‘일본을 우리나라의 우방으로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62.8%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우방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은 31%에 그쳤다. 특히 40대의 75.1%가, 문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 평가하는 층의 80.6%가 일본을 우방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