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은 청와대에 김기현 전 울산시장 비리를 알린 ‘제보자’였고, 청와대 인사와 지역 공약을 의논한 선거캠프 핵심이었으며, 또 한편으로는 경찰의 김 전 시장 수사 과정에서 중요 참고인이었다. 울산경찰청이 김 전 시장 측근비리와 관련해 압수수색을 하기까지도 송 부시장의 진술이 핵심 역할을 했다. 압수수색은 김 전 시장이 울산시장 후보로 자유한국당 공천을 받던 날 이뤄졌다.
울산 지역에서는 송 부시장이 ‘제보자’로 판명되기 이전부터 이번 사태의 연결고리라는 주장이 파다했다. 송 부시장의 제보가 밝혀졌을 때 김 전 시장 측 반응은 “그럴 가능성이 컸다고 봤다”는 것이었다. 검찰은 김 전 시장 측 인사를 참고인으로 불러 청와대의 하명 수사, 선거개입 의혹과 관련한 송 부시장의 행적을 복원하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김태은)는 김 전 시장의 비서실장이던 박기성씨를 지난 7일과 8일 연이틀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조사했다. 박씨는 비리 당사자로 지목돼 울산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수사를 받다가 지난 3월 검찰에서 최종 무혐의 처분을 받은 이다. 검찰은 박씨를 상대로 송 부시장이 지난해 지방선거를 전후해 진행된 울산경찰청의 수사에 도움을 준 사실을 어떻게 알았는지 질문했다고 한다.
박씨는 “지난 10월 29일 울산지법에서 열린 전직 경찰 수사팀장 공판에서 알게 됐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공판에서 검찰은 ‘2017년 12월 7일 송 국장 14시’ 문구가 있는 성모 전 경위의 수첩을 화면에 제시했다. 검찰은 성 경위 상사인 정모 울산경찰청 지능수사범죄수사대장을 상대로 “이 국장이 송병기 경제부시장이냐”고 물었다. 정 지수대장은 “예”라고 답했다. 경찰이 송 부시장을 만났다는 인정이었다.
박씨는 당시 울산청 수사를 총괄한 황운하 대전경찰청장을 고발한 이유에 대해 “어딘가에서 목적을 갖고 선거에 개입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라고 진술했다고 한다.
검찰은 김 전 시장 주변 비위 의혹 수사를 담당했던 울산청 소속 경찰 10명에 대해서도 소환을 통보했다. 그러나 소환을 통보받은 경찰은 모두 불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당시 수사 경위와 수사팀 내부 이견, 수사팀원 교체 경위 등을 알고 있을 만한 인물들이다. 경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소환에 응하는 것 여부는 개인에 일임한 것”이라며 “우리가 지침을 주거나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의 중심에 서 있는 황 청장이 자서전 성격의 책을 펴내고 9일 북콘서트를 열기로 해 논란이 예상된다. 황 청장은 ‘검찰은 왜 고래고기를 돌려줬을까’라는 제목의 책을 펴내고 이날 오후 7시 대전 중구 대전시민대학에서 북콘서트를 연다. 책에는 검찰을 비판하는 내용이 주로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황 청장은 내년 총선 출마를 위해 명예퇴직을 신청했으나 최근 불가 통보를 받았다.
허경구 이가현 조효석 기자 ni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