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유재수 의혹’ 김경수 비공개 소환… 이르면 이번 주 조국 조사 마무리할 듯

입력 2019-12-09 04:01

검찰이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한 청와대의 감찰 무마 의혹과 관련해 최근 김경수 경남지사를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지사는 구속된 유 전 부시장을 비롯해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천경득 총무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 참여한 텔레그램(비밀채팅) 대화방에서 금융위원회 인사를 논의했다고 지목된 상태다.

8일 법조계에 따르면 ‘유재수 감찰 무마’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동부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이정섭)는 최근 김 지사를 비공개로 불러 조사했다. 참여정부 시절 김 지사는 연설기획비서관으로, 유 전 부시장은 제1부속실 행정관으로 근무한 인연이 있다. 전직 청와대 특감반원들은 지난해 10월 비위 의혹이 불거진 유 전 부시장의 휴대전화를 포렌식하는 과정에서 그가 김 지사와 여러 차례 메시지를 주고받았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자체 조사 결과 문제의 텔레그램 대화방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일축했지만 검찰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감찰 자료를 일부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천 행정관도 최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금융권에서는 천 행정관이 청와대 핵심 인사의 금융위 인사 청탁을 유 전 부시장에게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했다는 말이 나온다.

검찰이 감찰 무마 의혹과 관련된 핵심 인물 조사를 사실상 마무리한 만큼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소환만 남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 전 부시장 구속만기일인 오는 15일 전 조 전 장관을 소환할 가능성이 높다. 조 전 장관 휘하에 있던 박형철 청와대 반부패비서관과 백원우 민주연구원 부원장(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은 검찰 조사에서 감찰 중단의 책임을 조 전 장관에게 돌리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검찰 안팎에선 조 전 장관이 진술거부권을 행사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유 전 부시장 비위를 알고도 감찰을 무마한 직무유기 또는 직권남용 혐의를 벗으려면 두 사람의 진술을 적극 반박할 필요가 있어서다. 조 전 장관은 지난달 21일 서울중앙지검 소환조사 때 언론에 포착된 이후로 2주 넘게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