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창수(사진) 회장이 GS그룹 회장직에선 용퇴했지만 전국경제인연합회장 임기는 채우기로 하면서 전경련도 한숨 돌렸다. 하지만 벌써 3년 전 사임 의지를 보인 허 회장이 이번 임기가 끝난 후 5연임까지 자처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1년 남짓 남은 시간 전경련은 후임자 물색과 함께 위상 회복 방안도 고심해야 하는 상황이다.
허 회장 임기는 2021년 2월까지로 아직 1년 넘게 남았다. 그는 2011년부터 4연임해 10년 가까이 전경련을 이끌어왔다. 이번 임기까지 마치면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과 고 김용완 경방 회장 등과 함께 역대 최장수 회장 반열에 오르는 것이다.
문제는 허 회장 임기 만료 이후다. 허 회장이 5연임을 하지 않고 물러날 경우를 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4일 전경련에 따르면 현재 주요 기업 중 롯데, 한화, 신세계, CJ, LS, 효성 등이 회원사로 가입돼 있지만 후임자로 나설 만한 인물을 예측하긴 어렵다. 경제단체 수장으로서 재계 서열이나 연령 등을 따졌을 때도 적임자를 찾기 힘들다.
허 회장이 2년 뒤 5연임할 가능성도 있지만 그는 이미 2016년 12월부터 사임 의사를 밝혀왔다. 국정농단 사태에 연루된 책임을 지려고 했으나 후임자를 찾지 못해 결국 임기를 채웠고, 지난해 2월 4연임을 하게 됐다.
현 정부의 전경련 ‘패싱(배제)’ 기조도 계속되고 있어 선뜻 나서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많다. 재계 관계자는 “여전히 사회적 비난의 타깃이 되고 있어 전경련을 나간 곳도 많았다”고 전했다.
지난 9월 일부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전경련을 방문하자 전경련 패싱이 끝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일부 의원의 행보일 뿐 당 차원의 움직임으로 보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시민사회의 비판도 여전히 거셌다. 참여연대는 “해체해야 한다던 전경련과 손잡은 여당, 재벌 개혁은 뒷걸음이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허 회장의 남은 임기 동안 전경련의 역할이 회복되는 정도에 따라 ‘회장 구인난’도 다소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비록 세력은 줄었지만 전경련은 민간 차원의 경제적 교류 창구로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열린 한·일 재계회의에서 전경련과 일본 경제단체연합회는 민간교류 확대를 위한 펀드 형식의 재단을 만드는 아이디어도 공유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과거 잘못으로 인한 부정적 이미지를 바꿔 나가는 것은 장기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사회에 필요한 사업들을 하며 본연의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