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2∼3년 뒤면 노인 인구 20%대 진입… 노인들 갈 곳이 없다

입력 2019-12-03 04:08

부산에 노인들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산은 2~3년 뒤면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 삶의 질 하락은 우울증과 고독사 등으로 이어지고,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상승하는 만큼 노인 공간 확충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2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역별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수는 부산진구가 6만6700여명으로 가장 많았고 해운대구 6만5600여명, 사하구 5만5400여명, 남구가 5만1400여명, 동래구가 4만6400여명, 금정구가 4만6200여명, 북구 4만5300여명, 연제구 3만7400여명 순이었다. 노인 인구가 가장 작은 지역은 중구로, 1만700명가량이었다.

노인 인구비율이 초고령사회 기준인 20%를 이미 넘어선 곳도 중구(25.4%), 서구(23.8%), 동구(25.2%), 영도구(25.5%), 수영구(20%) 등 5곳에 달했다.

노인 인구는 지속해서 늘고 있지만, 이들에게 할당된 복지관은 지역별로 1~3곳에 불과하다. 16개 구·군별 노인복지관 개수는 동래구 남구 북구 수영구 금정구가 1곳을 운영하고 연제구 중구 서구 영도구 강서구 사상구 해운대구가 2곳, 진구 동구 사하구 기장군이 3곳을 운영 중이다.

노인복지관 공급이 노인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 경로당(2300여곳) 등이 많지만 대부분 쉼터 역할만 해 삶의 질 향상과는 거리가 있다고 사회복지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지역 복지관은 사회복지사를 비롯해 영양사, 교육 전문가 등을 갖추고 방문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강좌, 레크레이션, 노래교실, 웃음치료, 상식 강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프로그램이 많다보니 복지관을 방문하는 인원도 많다. 부산진구 노인복지관의 경우 하루 평균 700여명이 이용한다.

노인복지관은 접근성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부산 북구 구포동 노인복지관은 같은 지역이라도 거리에 따라 대중교통으로 1시간가량 걸리기도 한다.

북구 만덕동에 사는 A씨(67·여)는 “경로당에선 젊다고 받아 주지도 않는다”면서 “복지관에 가서 노래라도 배우고 싶은데 날도 춥고 다리가 아파서 방문하는 것은 엄두도 안 난다”고 말했다.

중구의 한 사회복지사는 “최근 낮 시간대 남포동, 부전동 등 도심을 배회하며 시간을 보내는 노인들이 늘었다”면서 “그들이 집 인근에서 체력 증진과 즐거운 일상 꾸려나갈 수 있도록 복지관 확충이 속도를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