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명 수사’ 선긋던 靑… 백원우 별동대 자살에 당혹·충격

입력 2019-12-02 04:08
사진=뉴시스

청와대가 민정수석실을 겨눈 검찰 수사와 각종 의혹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특히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 아래에서 별동대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현직 검찰수사관인 A 전 청와대 행정관이 사망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청와대 관계자들은 김기현 전 울산시장과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 관련 의혹에 대해 “확인되지 않은 설에 불과하다”며 선을 그어 왔지만 막상 A수사관이 사망하자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일 A수사관 사망과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검찰 수사를 조용히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만 했다.

A수사관이 청와대에 근무할 당시 민정수석실은 검찰과 경찰 등에서 파견받은 15명의 특별감찰반원을 반부패비서관실과 민정비서관실에 각각 9명, 6명을 배치했다. 백 전 비서관은 민정비서관실 특감반 6명 가운데 A수사관을 포함한 2명에게 업무 영역을 뛰어넘는 감찰 활동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민정비서관실은 여론 동향 파악 및 대통령 친인척 관리 등을 담당하므로 다른 감찰 업무를 맡았다면 문제가 된다. 이에 따라 A수사관 등이 ‘고래고기 사건으로 촉발된 검경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울산에 내려갔다’는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의 설명도 논란이 될 수 있다.

청와대 안에서는 검찰 수사 흐름이 심상치 않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온다. A수사관이 사망하면서 청와대가 ‘백원우 별동대’의 활동 전력을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29일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를 통해 김 전 시장에 대한 하명 수사 논란을 상당 부분 소명했다고 주장했지만 여전히 해소되지 못한 의혹이 많다. 특히 김 전 시장 수사 과정에서 경찰의 보고 여부와 시점을 두고 백 전 비서관과 노 실장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아울러 천경득 청와대 총무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은 유 전 부시장에게 이성호 현 금융위 상임위원 인사를 추천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인사 청탁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대통령의 권한인 고위직 인사에 비선이 개입했다는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은 A수사관의 사망을 두고 “청와대가 개입한 울산시장 선거농단 사건이 점입가경, 권력형 범죄 게이트로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아 원내대변인은 “권력의 핵심까지 연관된 범죄가 아니라면 단순히 참고인 신분인 사람이 이처럼 극단적인 선택을 할 필요가 있겠는가”라며 “울산 선거농단 사건에 대해 국정조사는 물론 특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A수사관 사망에 대해 공식 논평은 내지 않았고, 개별 의원들도 “상황을 더 파악해봐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당 일각에서는 A수사관이 검찰 수사를 앞두고 지나친 압박을 받은 탓에 극단적 선택을 한 게 아니냐는 반응도 나왔다.

박세환 심우삼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