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검사 김태은)에 참고인 출석을 앞두고 극단적 선택을 한 A수사관은 평소 유능하고 성실한 태도를 인정받아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소속으로 파견됐던 검찰 수사관이었다. 그는 지금은 사라진 옛 대검찰청 범죄정보기획관실 소속으로 범죄첩보와 각종 동향을 수집할 때에도 뛰어난 성과를 보였다고 한다. A수사관을 아는 한 인사는 “사람도 좋아서 BH(청와대) 파견 근무자로 발탁됐었다”고 말했다.
A수사관이 있던 청와대 민정비서관실의 감찰은 통상 대통령의 친인척을 대상으로 이뤄져 왔다. 하지만 A수사관 등 2명은 백원우 민주연구원 부원장(전 청와대 민정비서관)의 지시를 받는 별도의 조직으로서 감찰 업무를 수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 ‘백원우 특감반’ ‘백원우 별동대’라 불린 이들은 지난해 울산을 직접 찾았던 일이 드러나면서 구설에 올랐다.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첩보 생산, 뒤이은 울산경찰청의 수사에 깊이 개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었다.
검찰의 수사 결과 김 전 시장 수사 단초가 된 첩보가 청와대에서 하달됐고, 또 백 전 비서관이 해당 첩보의 전달자로 특정되기도 했다. 첩보 원천을 향한 검찰 수사는 백원우 특감반의 행위를 세세히 복원하려는 노력이기도 했다. A수사관이 서울중앙지검에 출석하기 전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고래고기 사건을 해결하러 간 것”이라고 했지만 의혹은 가라앉지 않았다. 자유한국당의 경우 “고래가 대통령의 친인척 반열에 올랐느냐”는 논평을 냈다.
검찰 관계자는 A수사관의 사망을 확인한 직후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를 표한다”면서도 “사망 경위가 정확히 확인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A수사관이 조사를 앞두고 압박을 느꼈는지, 접촉한 사건 관계인은 있었는지 조사하는 과정이 뒤를 이을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시장의 첩보 원천을 향해 수사를 펼치는 검찰의 초점은 한편으로는 2017년 여름 울산에 맞춰져 있었다. 울산경찰청의 수사 착수 이전부터 울산 지역 사회에서 사실상 김 전 시장의 ‘뒷조사’가 이뤄졌다는 정황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검찰은 이 같은 뒷조사가 근거가 있는 감찰이었는지 살피는 작업도 병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사회에서 당시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2017년 여름부터 김 전 시장과 관련해 울산에서 탐문을 다니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들이 김 전 시장 주변에 대해 파악하는 일들은 김 전 시장에게도 거꾸로 전달됐고, 이에 김 전 시장은 크게 불쾌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울산 지역에서는 김 전 시장과 관련한 비위 5가지가 언급된 ‘리스트’가 돌았다고 한다. 이 가운데에는 김 전 시장이 한 공무원을 승진하게 해 주고 도움을 받았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김 전 시장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격노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지난해 경찰의 수사는 리스트에 언급된 내용을 중심으로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구승은 허경구 기자 gugiz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