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 7월 출범한 ‘경기도 건설공사 시민감리단’이 시민의 눈높이로 26개 현장에서 깐깐한 감리활동 펼쳐 327건의 보완사항을 발견했다고 1일 밝혔다.
건설공사 시민감리단은 이재명 도지사의 민선7기 공약인 ‘공정한 건설문화’ 정착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난 7월 8일 위촉식을 갖고 1기 시민감리단이 공식 출범했다. 감리단에는 전공·경력 등을 고려해 뽑힌 건축 전기 통신 소방 토목시공 도로 철도 상하수도 하천 등의 분야에서 전문능력을 갖춘 시민 20명이 단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30억원 이상 규모 도 및 도 소속기관 발주 공사현장을 직접 살펴보며 재해예방, 품질·안전관리, 건설부조리 근절, 부실 설계·시공 방지, 건설시공능력 강화 감리활동을 펼쳐왔다.
올해는 하남선 복선전철 4공구, 오포~포곡간 도로확·포장 공사, 안산천 고향의 강 사업 등 총 26개 현장을 살폈다. 활동은 단순 단속차원을 넘어 현장의 애로·건의사항을 듣고 조언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현재까지 도로 111건, 하천 99건, 철도 66건, 건축 51건 등 총 327건의 보완사항을 발견해 구체적인 개선방향을 지도하고 공사현장 관계자들에게 신속한 조치를 주문했다.
실제로 A하천 정비현장에서는 U형 수로 상부에서 추락 우려가 있다고 판단, 안전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해 현장에는 추락위험 경고표지와 방호벽 등을 설치해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했다. B철도 사업현장에서는 공사 특성 상 지하 밀폐공간에서 작업이 이뤄져 가스 노출에 대한 위험 있다고 지적, 현장 가스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알리는 알람판을 설치했다.
현장 관계자들은 이 같은 감리단의 활동방식에 만족감을 표하고 있다. 기존의 단순 단속과 처분 위주의 방식에서 탈피해 현장에서 자칫 놓칠 수 있는 부분까지 꼼꼼히 살피고 개선방향까지 세심하게 지도해 품질 높은 공사와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드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반응이다.
이재영 경기도 건설정책과장은 “공사를 하는 대부분의 시설들이 도민들이 이용하는 만큼 도민의 눈높이에서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발견하고 개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시민감리단의 주요 임무”라며 “앞으로도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을 근절하고 공정하고 안전한 건설환경을 만들도록 감리단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 건설공사 시민감리단은 12~2월 동절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공사가 중지된다는 점을 감안, 내년도 감리대상 수요조사를 실시한 후 내년 3월부터 현장점검 활동을 재개할 방침이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