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회원국 정상들이 26일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자유무역 협력, 인적 교류 확대 등 미래 청사진을 담은 ‘한 아세안 공동 비전성명’을 발표했다. 함께 채택된 공동의장 성명에서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자제와 평화적인 대화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와 함께 공동의장을 맡아 이날 부산 벡스코에서 ‘2019 한 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주재했다. 각국 정상들은 ‘한·아세안 30&30’(제1세션)과 ‘지속가능한 번영을 위한 연계성 증진’(제2세션)을 주제로 의견을 나눴다.
문 대통령은 쁘라윳 총리와 공동 언론발표를 통해 “아세안의 발전이 곧 한국의 발전”이라며 ‘사람 중심의 공동체’ ‘상생 번영의 혁신 공동체’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라는 세 가지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과 한국은 인적·문화적 교류를 확대하고 ‘사람 중심의 공동체’를 실현하기로 했다”면서 한·아세안 인적 교류 확대, 한국 체류 아세안 국민들의 편익 증진 등을 약속했다.
‘상생 번영의 혁신 공동체’와 관련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우리는 자유무역이 공동번영의 길이라는 것을 재확인했다”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협정문 타결을 환영하고,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을 바탕으로 자유무역을 지켜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4차 산업혁명 협력을 위해 과학기술 협력센터를 아세안에 설립하기로 했다.
평화로운 동아시아 공동체에 관해 문 대통령은 “아세안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을 위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 주도 지역 협의체를 활용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특히 우리 정부의 비무장지대(DMZ) 국제평화지대화 구상을 지지하고 공동연락사무소와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협력 계획을 담은 공동의장 성명에는 북한의 추가적인 미사일 실험 자제를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업무 오찬에서도 아세안 정상들에게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와 협력을 당부했다. 특히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이 조기에 재개되도록 아세안 회원국들이 계속 단합된 메시지를 내줄 것을 요청했다.
회의에 이어 한·미얀마, 한·라오스 정상회담이 열렸다. 문 대통령은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과의 정상회담에서 미얀마 정부가 지난 9월 한국 관광객에 대한 비자면제조치를 연장한 데 대해 사의를 표하고 양국 국민 간 교류 확대를 기대했다. 수치 고문은 9월 문 대통령의 미얀마 방문 때 기증한 스쿨버스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밝혔고, 한국 기업이 지원 중인 라카인주 마나웅섬 태양광 발전 시설 건설에 대해서도 감사의 뜻을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는 9월 라오스 국빈방문 당시 약속했던 협력의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메콩강변 종합관리, 농촌공동체 개발, 불발탄 제거 1차 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것을 높이 평가했다. 통룬 총리는 부산항을 다녀왔다며 “부산항이 세계 6대항이라는 설명을 듣고 무척 놀랍고 부러웠다. 한국의 축적된 선진기술을 공유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부산=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