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가 파업을 끝낸 25일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해 또다시 물류대란이 우려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화물연대는 이날 서울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전운임제’ 도입이 무산될 경우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가 무산되거나 화물운송 시장의 불합리한 현실을 무시한 졸속 방안을 일방적으로 강행하려 할 경우 즉시 총파업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안전운임제란 최저임금과 같이 화물 노동자에게 적정 운임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 내년 1월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안전운임과 운송원가를 결정할 안전운임위원회가 지난 7월 발족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한 채 시한(21일)을 넘겼다. 위원회에는 화물 노동자와 운송업체 대표, 전문가 공익위원 등이 참여한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가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5차례 전문위원회, 18차례 운영위원회와 13차례 안전운임위원회 등의 논의에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며 “자본(기업)은 안전운임제를 외면하고 단지 운임 산정 기준을 낮추려고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화물연대는 기자회견에 이어 정부세종청사 국토교통부 앞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했다. 화물연대는 26일부터 이틀 동안 국토부 앞에서 확대 간부 철야 농성을 할 계획이다.
화물연대가 실제 총파업에 나설 경우 운송 차질로 큰 피해가 우려된다. 국내 화물 수송량의 90.6%가 도로운송이기 때문이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2008년 화물연대가 고유가로 인한 운송료 인상을 요구하며 7일간 파업을 벌였을 때 1억5958만 달러(1800억원)의 수출입 차질이 발생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