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오는 28일 발표하는 대입 공정성 강화방안에 교육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 9월 1일 ‘대입 전반 재검토’ 언급 뒤 89일 만, 지난달 22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정시 확대를 주문한 이후 38일 만이다. ‘초단기 속성’으로 의견수렴 과정을 사실상 건너뛰고 현장 파급력이 큰 정책을 내놓는 것이어서 후폭풍은 상당할 전망이다.
24일 교육계에 따르면 최대 관심사는 정시비중 확대 규모다. 지난해 대입개편 공론화를 통해 모든 대학에 권장된 정시비중 30%가 40~50%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측된다. 만약 45%로 늘어난다면 수시에서 뽑지 못하고 정시로 넘어오는 인원까지 합해 정시비중은 50% 수준에 육박할 전망이다.
정시비중을 늘려야 하는 대학 명단에도 관심이 쏠린다. 교육부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쏠림이 심한 서울 소재 대학만 정시비중을 확대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교육계에선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를 포함해 15개 대학 안팎으로 예측하고 있다. 정부는 전국의 모든 대학이 정시비중을 늘리는 게 아니라 서울 일부 대학에 한정된 것이어서 지난해 공론화 결과를 크게 훼손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들 대학은 학생·학부모들이 선호하는 곳이고, 대학 입시 전반에 영향력을 끼치는 대학들이어서 입시 현장에 미칠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 입시 전문가는 “정시와 수시 비중 문제, 학종 공정성 이슈는 결국 서울에 있는 대학들을 둘러싼 문제였다. 그래서 그렇게 첨예하게 다투었던 것인데 ‘일부 대학이므로 괜찮다’는 정부 주장은 여론 호도”라고 꼬집었다.
학종 개편 방안에서 자기소개서와 자율·동아리·봉사·진로활동 같은 비교과 폐지 여부도 발표될 예정이다. 교육부는 비교과 활동을 폐지하고 교과 성적을 평가하는 방안을 예고했으나 학종 전형 취지 자체를 훼손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