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건강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반인이 건강 상태를 스스로 확인하기 어려운데 스스로 장건강 상태를 체크해볼 수 있는 척도인 GQ(지큐)가 개발됐다. GQ는 Gut Quotient(장 건강지수)의 약자로, 아이큐(IQ)나 이큐(EQ)처럼 장 건강 상태 역시 GQ지수로 표현해 체계적으로 연구·관리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이동호 교수 연구진과 일동제약 연구진은 선행연구 사례에 대한 문헌고찰 및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거쳐 ‘한국인의 장 건강지수 측정 척도(GQ)’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GQ는 일반인들이 장 건강 상태에 대해 가지는 주관적인 느낌과 증상 관련 설문에 스스로 응답해 자신의 장 건강 상태를 쉽고 간편하게 점수로 확인할 수 있는 척도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설문은 어려운 용어를 최소화한,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진단할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일반인들의 접근성을 도모했다. 측정자가 장 건강을 확인해볼 수 있는 17개의 문항에 대해 응답하면, 100점 만점 기준으로 측정자의 GQ지수를 점수로 확인이 가능하다. 해당 문항은 ‘지각된 장 불편감’, ‘배변 불편감’, ‘배변 조절 불편감’ 등 전문가들이 확인한 요인들로 구성됐다. 각 항목은 연구진이 설정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로 환산 후 합산, 최종 GQ점수를 도출할 수 있게 설계됐다.
특히 개발된 지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한국의 일반인 1120명을 대상으로 측정을 진행했는데, 한국인의 평균 GQ지수 점수는 79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0~30대 여성이 그 이외의 집단에 비해 GQ가 낮았고 기혼자에 비해 독신자에게서 GQ가 낮게 측정됐다.
연구진은 GQ측정결과를 지속적으로 누적해 환자군과 일반인의 비교연구를 실시하고 측정 척도 및 산출 모델을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며, GQ지수가 한국인의 장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지수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GQ지수는 일동제약 프로바이오틱스 브랜드인 지큐랩 공식 홈페이지의 장건강지수 메뉴를 통해 누구나 측정해 볼 수 있다. 성별과 연령대 체크 문항을 통해 측정자의 GQ지수 점수와 함께 한국인 전체 평균, 성별 평균, 참여자 평균 등의 점수를 확인해 자신의 장건강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조민규 쿠키뉴스 기자 kioo@kukinews.com
일동제약-분당서울대병원, 장 건강상태 체크 GQ지수 개발
입력 2019-11-24 1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