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에서 자유한국당 소속 지역구 의원들을 ‘교체해야 한다’는 유권자 비율이 ‘유지해야 한다’는 유권자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비슷했다.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19일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현역 의원 유지·교체에 대한 여론조사를 한 결과,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구 의원이 내년 총선에서 출마한다면 교체할 것이라는 응답이 한국당의 경우 50.1%로 집계된 것으로 20일 나타났다.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40.4%로 10% 포인트 낮았다. 민주당은 교체와 유지 응답이 각각 44.3%와 46.6%로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런 결과에 대해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내년 총선에서 민주당의 386세대를 향한 교체 요구와 한국당의 친박 내지는 대구·경북(TK) 등 기득권 세력에 대한 교체 요구 가운데 후자에 대한 유권자들의 의지가 더 강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양당 간 교체·유지 비율 격차가 현재의 정당 지지율과 무관하지 않다는 해석도 나왔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연구소장은 “교체 지표라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바꿀지 말지는 그동안 잘했는지 못했는지에 대한 최종판단”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결국 한국당의 그간 활동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볼 수 있다”며 “제1야당의 기득권화된 정치인들에 대한 교체 의지가 광범위하게 형성돼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민주당 의원의 경우 교체와 유지가 비슷했지만 의원이 잘했다기보다는 높은 정당 지지율과 대통령 지지율 덕을 본 측면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권역별 응답을 봤을 때 민주당이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점하고 있고, 광역단체장 대다수가 민주당인 서울, 경기·인천, 충청권에서 교체 비율이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배종찬 소장은 “이들 지역은 지역색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선거 때마다 부동층이 늘어나곤 한다”며 “이들 지역에서는 이념적 기준보다는 지역 발전 등 개인의 이해관계에 따라 투표를 하기 때문에 내년 총선이 지방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