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불복’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볼리비아에서 대통령궁 경호대를 비롯한 몇몇 대도시 경찰들까지 정부에 반기를 들며 시위에 가담했다. 지난달 개표 조작 의혹으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에 공권력까지 동조한 상황에서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이 권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심각한 의문이 제기된다.
AP통신 등은 9일(현지시간) 볼리비아의 행정수도 라파스 등 최소 6개 도시에서 경찰들이 모랄레스 대통령 퇴진 촉구 시위에 동참했다고 보도했다. 경찰들은 전날부터 근무지를 이탈한 채 시위에 참여했고 시위대는 제복 입은 이들을 열렬히 환영했다. 라파스에서 대통령궁을 지키던 경찰 수십명은 시위 참여 이후에도 대통령궁으로 복귀하지 않고 지역 경찰본부로 향했다.
코차밤바의 경찰들은 사복을 입은 채 경찰서 옥상에 올라가 “경찰을 정치적 도구로 삼지 말라”며 정부에 반기를 들었다. 사법수도인 수크레, 반정부 시위 중심지인 산타크루스에서도 경찰들이 “코차밤바 경찰이 시작한 항명에 합류하겠다”고 선언했다.
볼리비아군 수뇌부에 따르면 군 최고사령탑인 윌리엄스 칼리만은 이날 “볼리비아 헌법은 군이 자국 시민들과 대치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하비에르 사발레타 국방장관도 “현재로서는 시위에 가담한 경찰들에 대해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이라며 “시위대에 대해서도 군 병력을 동원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군·경 치안 당국에서 국가원수에 대한 지지를 철회할 가능성을 드러낸 셈이다.
모랄레스 대통령은 TV 연설을 통해 “쿠데타 시도”라며 시위를 폄하하면서도 야권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위대는 대통령의 입장만 대변한다며 국영 방송국마저 점거하고 방송 송출을 중단시켰다. 방송국에서는 음악만 송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궁지에 몰린 모랄레스 대통령은 10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대통령 선거 재실시와 선거관리위원회 위원 전원 교체를 약속했다. 미주기구(OAS) 선거 참관인단이 보고서를 통해 이번 선거에 명백한 조작을 발견했다며 선거 무효 의견을 내자 이를 따른 측면도 있다.
반정부 시위는 지난달 20일 치러진 볼리비아 대선의 개표 조작 의혹이 불거지면서 촉발됐다. 개표가 84% 완료된 상태에서 대통령과 야당 후보의 격차는 크지 않았으나 선관위는 돌연 개표 과정 공개를 중단했고 하루 뒤 96% 개표가 완료된 시점에서 두 후보의 격차가 10% 이상으로 벌어졌다는 결과를 공개했다. 이후 선관위는 모랄레스 대통령의 당선을 선언했고 이에 분노한 시민들이 나서면서 시위가 2주 넘게 진행되고 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