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과 대화나 여야대표 회동 좋지만 보여주기식 안돼…
협치 이끌어 내고 지지자 중심 아닌 중도층 다가가야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19일 국민들과의 대화를 할 예정이다. 10일에는 청와대에서 여야 5당 대표와 만찬 회동을 했다. 지난달 25일엔 출입기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임기 반환점을 지나 후반기에 접어들면서 본격적인 소통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이렇게 약속했다. “국민과 수시로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 주요 사안은 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다.” “퇴근길에 시민과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누겠다.” “야당은 국정 운영의 동반자다. 대화를 정례화하고 수시로 만나겠다.”
하지만 임기 절반 동안 기자회견은 세 번에 불과했다. 여야정 국정상설협의체는 정권 출범 1년6개월 만에 한 번 열렸고, 두 번째 회의는 언제 열릴지도 모른다. 문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만남은 2017년 세 차례, 2018년 네 차례, 올해 들어서는 이번이 두 번째다. 문 대통령이 야당 인사들과 만나는 것을 꺼려한다는 얘기가 많다. 야당이 국정에 협조하지 않고 발목만 잡아 온 이유도 있겠지만 문 대통령도 정치력이나 친화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또 취임사에서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지지자 중심의 국정 운영을 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공정과 정의를 희생시키면서까지 조국 법무부 장관 임명을 강행하면서 진영 싸움이 절정에 달했고 나라가 두 쪽이 났다. 문 대통령이 뒤늦게나마 소통에 나선 것은 다행이다. 하지만 이제 소통을 하는 것만으론 부족하고 보여주식식에 그쳐서도 안 된다. 반드시 국정 운영 변화와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야당과의 협치가 필요하다. 물론 야당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치 공세나 강경 투쟁을 계속할 것이다. 그렇지만 야당의 공세는 어느 정부에서나 았었던 상수다. 더불어민주당도 야당 시절 그랬다. 국정 운영과 국회 운영 과정에서 야당의 비협조를 넘어서는 정부여당의 정치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야당도 아니고 정부여당이 자기주장만 되풀이하는 것은 정치가 아니다.
무엇보다 중도층에 다가가는 국정 운영을 하기 바란다. 무조건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극단적 여론에 휘둘리지 않고 사안별로 옳고 그름을 합리적으로 판단하려는 중도적인 민심의 흐름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인사도 달라져야 한다. 문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저에 대한 지지 여부와 상관없이 유능한 인재를 삼고초려해서 일을 맡기겠다”고 했다. 지금부터라도 이 약속이 지켜져야 한다. 임기 내내 코드 인사를 고집하는 것은 무능한 정부로 가는 지름길이다.
[사설] 국정 운영 변화와 성과로 이어지는 소통이어야
입력 2019-11-11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