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과학자 1만1000명이 “세계인들은 큰 변화가 없는 한 기후위기로 유례없는 고통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과학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기후변화가 훨씬 빠르게 진행돼 비상사태로 치닫고 있다며 탄소세와 성장 중심주의 탈피 등 긴급조치를 촉구했다.
영국 가디언, BBC방송 등은 5일(현지시간) 국제 과학학술지 바이오사이언스가 제1차 세계기후회의 40주년을 맞아 과학자들이 기후변화 대응을 촉구하는 성명을 실었다고 보도했다. 윌리엄 리플 미국 오리건주립대 교수가 주도한 이 성명은 세계 153개국 과학자 1만1000명의 지지를 받았다.
리플 교수는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극단적인 기후위기 때문에 나섰다”며 “과학자들은 치명적인 위협에 대해 경고해야 할 도덕적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경고의 핵심 목적은 단순히 탄소배출이나 표면온도 상승이 아닌 기후 파괴의 원인과 영향을 나타내기 위한 폭넓은 필수 지표(vital signs)들을 제안하는 것”이라며 삼림 벌채, 항공 운수, 1인당 육류 생산, 해빙 손실, 화석연료 소비량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 29가지 필수 지표를 제안했다. 또 지난 40년간 다양한 인간 활동을 기록한 그래프도 제시했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 40년간 풍력 및 태양열 에너지 같은 재생에너비 소비가 10년마다 373% 상승했지만 이는 2018년 기준 화석연료 에너지 소비량의 28분의 1에 불과했다. 전 세계 인구는 15.5% 증가했지만 산림 면적과 아마존 열대우림은 각각 49.6%, 24.3% 감소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10년마다 17.9%꼴로 증가한 반면 남극의 빙하는 1조2300억t씩 감소했다.
연구진은 대부분의 필수 지표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기후 비상사태를 가중시키고 있다고 했다. 비행기 승객 급증, 국내총생산(GDP) 성장 등 부유한 생활방식과 과도한 소비도 기후위기를 부추긴다고 지적했다.
과학자들은 기후 재앙을 막기 위해 에너지·오염물질·자연·식품·경제·인구의 6가지 분야에서 긴급조치 방안을 제시했다. 화석연료 사용 억제, 인구 억제·관리, 삼림파괴 중단, 육식 축소 및 채식 장려, 오염물질의 배출 축소, GDP 성장에서 탈피한 경제목표 등이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 논의가 지난 40년간 이어졌지만 위기를 해결하는 데 실패했다”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보장하기 위해서 인류는 삶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이탈리아는 세계 최초로 기후변화와 지속가능성 이슈를 공립 초·중·고 의무교육과정할 계획이다. 로렌초 피오라몬티 이탈리아 교육부 장관은 전날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이탈리아가 환경 교육의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 이슈 교육은 내년 9월부터 시작되며 연간 총 33시간 이뤄질 계획이다. 피오라몬티 장관은 내년 1월까지 교육부는 교사들을 훈련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