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보수 통합 논의를 본격 시작하기 위한 통합협의기구 설치를 범야권에 제안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범보수 통합을 위한 신호탄을 쏜 것이지만, 구체적인 방법론보다 ‘폭넓게 통합하겠다’는 선언적 성격이 강해 실제 통합이 성사되기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황 대표는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헌법 가치를 받드는 모든 분과 정치 통합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당내에는 통합논의기구를 설치하고 (밖으로는) 뜻 있는 분들과 함께하기 위한 통합협의기구 설치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통합의 대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황 대표는 “유승민 바른미래당 의원과도 직간접적 소통과 협의를 해 왔고, 우리공화당과도 직간접적 논의를 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목표는 문재인 정권의 좌파 폭정을 막는 것”이라며 “분열의 요소들을 정치 대의의 큰 용광로 속에 녹여내는 실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박형준 동아대 교수 등이 설립한 싱크탱크 ‘플랫폼 자유와 공화’와도 필요한 논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 대표는 앞서 이 단체가 주최한 행사에 참여해 원희룡 제주지사, 김병준 전 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과 교감했다.
황 대표가 보수 통합을 공론화한 것은 총선이 5개월밖에 안 남아 더 이상 논의를 미뤄선 안 된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는 “통합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지금은 총선을 앞둔 시점이다. 시기가 늦으면 통합의 의미도 감쇄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시점에 대해서는 “12월은 돼야 할 것 같고, 1월이 될 수도 있겠다”고 했다.
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이 서로 다른 바른미래당과 우리공화당을 한꺼번에 끌어안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유 의원은 입장문을 내고 “한국당이 ‘탄핵의 강을 건너자’는 보수 재건의 원칙을 받아들일 의지가 있다면 대화를 시작하겠다.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보수를 근본적으로 재건하는 대화라면 진정성 있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대화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유 의원이 조건으로 제시한 ‘보수 재건 원칙’에 대해 황 대표는 즉각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또 “유 의원에 대한 당내 반발도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공화당은 “박 전 대통령 탄핵을 묻어버리면서 하자고 하는 보수 통합 논의는 야합”이라며 “유 의원을 포함한 탄핵 5적을 정리도 못 하면서 무슨 통합을 말하느냐”고 비판했다.
심희정 김용현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