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에 접어들면서 ‘쥐’ 등 설치류를 매개로 한 감염병이 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가을철 발생한 신증후군출혈열 및 렙토스피라증 환자 수는 전체 60% 이상을 차지한다.
지난 9월30일 기준 집계된 신증후군출혈열 환자는 207명이다. 국내에서는 2001년 이후 연간 300~500명의 환자가 신고됐으며, 주로 10~12월 경기, 충남, 전북 지역에서 많이 발생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한타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한탄바이러스, 서울바이러스에 의해 나타나는 발열성질환이다. 한탄바이러스는 우리나라 들쥐의 72~90%를 차지하는 등줄쥐가 주로 매개하고, 서울바이러스의 경우는 도시의 시궁쥐가 바이러스를 전파한다.
설치류들은 한탄바이러스에 감염돼도 병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의 타액, 소변, 분변을 통해 바이러스가 체외로 분비되고 이것이 건조되어 먼지와 함께 공기 중에 떠다니면 호흡기를 통해 사람에게 감염된다.
김선빈 고대안암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신증후군출혈열에 감염되면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 이뇨기, 회복기 5단계로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저혈압 쇼크, 혈뇨, 신부전,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신증후군출혈열은 전 세계적으로도 연 15만명의 환자가 보고되고 있고, 얼마 전 미국과 캐나다에서도 환자가 발생했다. 보통 농촌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감염률이 높지만 가을철에는 밤을 줍거나 야외활동을 많이 하는 일반인에서 발병률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한탄바이러스에 오염된 환경에 자주 노출되거나 군인, 농부 등 고위험군에 속하는 사람들에게는 사백신 접종을 권장한다. 한 달 간격으로 2번, 그리고 1년 후 추가접종 1회만 하면 장기면역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렙토스피라증도 쥐 등 병원성 렙토스피라균에 감염된 동물의 소변 등에 노출돼 발생한다. 올해 9월 30일 기준 발생한 환자는 78명으로, 지난해 동기간 대비 27.8%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주로 9~11월에 신고 됐고, 특히 전남·전북지역에 많았다.
렙토스피라증은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될 확률이 크며, 눈과 코의 점막을 통해 감염될 수 있으므로 벼 세우기, 추수 등 작업을 할 경우 보호복과 장화,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유수인 쿠키뉴스 기자
야외활동 방해꾼 ‘쥐’ 옮기는 병 바로알자
입력 2019-11-10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