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IM부문장 고동진 사장은 5일 서울 서초구 서울R&D 캠퍼스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2019’ 둘째 날 개회사를 통해 “초연결 시대에는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기업이 글로벌 비즈니스의 승자가 될 것”이라며 “삼성전자가 5세대 이동통신(5G), AI 혁신의 선두에서 미래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삼성전자는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도전 정신으로 기술혁신을 주도해 왔고, AI 분야에서도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혁신기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 사장은 특히 기존 AI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은 인공일반지능(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연구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AGI는 ‘완전 AI’라고도 불리는 기술로 인간이 할 수 있는 어떠한 지적인 업무도 해낼 수 있는 AI 연구의 최대 목표를 말한다.
고 사장은 개회사 후 기자들과 만나 “내년에는 폴더블폰 생산을 대폭 늘릴 것”이라며 “올해보다는 분명히 많이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첫 선을 보인 갤럭시 폴드가 좋은 평가를 받으며 시장 안착에 성공한 데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수율이 향상되면서 내년에는 폴더블폰 출하량을 늘리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날 포럼에서는 미국 워싱턴대 노아 스미스 교수가 ‘실험적 자연어 처리를 위한 합리적인 순환신경망’을 주제로 발표했고, 카네기멜런대 압히나브 굽타 교수는 ‘시각·로봇 학습의 규모 확장과 강화 방안’에 대해 강연했다. 이밖에 영국 에든버러대 바이샥 벨 교수 등이 AI 적용 가능성과 연구 성과 등에 대해 공유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