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내년 예산안을 올해 24조3731억원보다 2조6588억원(10.9%) 증가한 27조319억원 규모 예산을 편성했다. 일반회계 23조5878억원과 특별회계 3조4441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내년도 예산안의 가장 큰 특징은 복지예산의 증액이다. 환경예산의 가파른 증가도 눈에 띈다.
복지예산은 올해 일반회계 기준 8조9326억원에서 내년 10조753억원으로 1조1427억원 증가(12.8%)해 지원규모가 역대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했다. 정부의 복지 예산 확대와 이재명 도지사의 3대 무상복지 추진에 따른 것으로 ‘청년기본소득’ 1054억원, 산후조리비 지원 296억원, 무상교복 198억원 등이 반영됐다.
환경분야 예산은 올해 일반회계 기준 6911억원에서 내년 1조2248억원으로 5337억원(77.2%)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다.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2035억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1323억원) 등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사업 예산이 대폭 확대됐다.
도와 시·군이 오직 정책으로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경쟁력 있는 정책을 도 전역에 확대되도록 하는 ‘경기도형 정책마켓’이 새롭게 도입된다.
경기도의회, 경기도교육청과의 협치를 통해 학생들의 권리를 강화하고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협력사업’도 예산에 반영됐다.
이 지사는 4일 경기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러한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내년도 본예산 편성안을 발표했다. 그는 “민선 7기 출범과 동시에 경기도는 ‘공정한 세상’을 도정 핵심가치로 내걸었고, 지난 1년간 공정의 기틀을 닦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며 하나씩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며 “내년에는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사회가 공정하면 개인의 실질적인 삶 또한 바뀐다는 것을 보여드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내년도 예산안을 5일 경기도의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경기도의 내년도 예산안은 오는 25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는 상임위를 거쳐 다음 달 2일부터 13일까지 예결위 심의를 받게 된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