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에 ‘미세먼지 대응 산업환경 개선 지원센터’를 구축하면 637억9400만원의 생산 유발효과와 196억4900만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있다는 연구용역 결과가 나왔다. 충북도는 산업환경 개선 지원센터가 충북에 조기 건설될 수 있도록 국비 예산 확보 총력전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도는 4일 충북연구원 중회의실에서 센터 구축 논리 개발 및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용역에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FITI시험연구원, 한국석회석신소재연구소, 한국캠 브리지필터, 코프로 등 국내 20여개 기관·기업이 참여했다.
용역결과 미세먼지 저감에 기여하기 위한 정부정책 지원과 충북의 소각시설 현안 해결에 적합하다는 점 등을 이유로 센터 구축은 타당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도는 2022년까지 청주시 오창읍 일원에 연면적 7000㎡의 5층 규모의 센터를 짓고 먼지 제어 실증 시스템, 공기정화 소재·기기 수명 평가시스템 등을 구축할 방침이다. 사업비는 국비 120억원·민자 130억원 등 280억원이 소요될 전망이다.
센터가 구축되면 미세먼지 저감 정부 정책 선도, 충북의 소각시설 현안 해결, 미세먼지 관련 소재 개발, 미세먼지 시장 규모 확대 등에 효과가 클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충북은 미세먼지 경보 발생일 수가 많은 편이라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산업환경 개선 지원센터는 미세먼지 저감으로 대기질 개선과 국민건강 개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충북지역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44㎍/㎥로 경기, 대전, 경북과 함께 전국에서 가장 높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