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영화 ‘82년생 김지영’과 관련한 청년대변인의 논평(사진)을 사흘 만에 철회했다. 장종화 민주당 청년대변인은 지난달 31일 ‘82년생 김지영’ 영화를 본 뒤 남성도 여성과 마찬가지로 차별을 받고 있다는 취지의 논평을 내 논란에 휩싸였다.
이해식 민주당 대변인은 3일 논평을 철회한 배경에 대해 “책과 영화가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 차별을 겪고 있는 여성들에 대한 공감을 표현한 작품인데 장 대변인의 논평은 그 논점보다 남성들도 차별이 있고 그러니 화합해 나가야 한다는 취지라 오해를 살 수 있다고 판단했다”며 “당론에 부합하지 않고, 개인적인 견해가 섞여 들어가 당의 논평으로는 적절치 않았다”고 설명했다.
장 대변인은 앞서 논평에서 “영화의 존재 자체가 소위 페미니즘의 상징이 되고 공격의 대상이 됐다”며 “그러나 우리 사회가 들여다봐야 할 문제는 그 지점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김지영이 겪는 일들을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한두 가지는 우리 모두 봤거나 들었거나 겪었다”며 “이는 거꾸로 ‘82년생 장종화’를 영화로 만들어도 똑같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 “초등학교 시절 단순히 숙제 하나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풀스윙 따귀를 맞고 스물둘 청춘에 입대해 갖은 고생 끝에 배치된 부대에서 아무 이유 없이 있는 욕, 없는 욕은 다 듣고 키 180㎝ 이하는 루저가 되는 것과 같이 여러 맥락을 알 수 없는 남자다움이 요구된 삶을 살았다”고 말했다. 사회에서 겪는 성차별은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해당한다고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당 안팎에서 비판이 봇물처럼 쏟아졌다. 김민석 민주당 관악갑 대학생위원장은 페이스북에서 “영화가 페미니즘의 상징이 됐지만 들여다볼 문제가 그게 아니라니 대체 무슨 근거로 그렇게 평가하는 것이냐”며 “‘82년생 김지영’은 여성이 마주한 차별을 직시한 페미니즘 작품이고 그렇기에 이해 받지 못해온 차별을 그려낸 것”이라고 했다.
강민진 정의당 청년대변인도 “가부장제는 남성에게도 해로운 게 맞지만 그렇다고 ‘남자도 차별받는다’ ‘여자나 남자나 똑같이 힘들다’는 말이 맞는 말이 되는 건 아니다”며 “여성을 차별하고 착취함으로써 남성이 기득권을 누리는 세상이라는 것도 부정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