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1,2기 신도시에 호재… 서울 주택 수요, 분산 효과”

입력 2019-11-01 04:05

정부가 31일 철도노선을 중심으로 한 각종 수도권 광역교통망 대책을 발표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1, 2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수도권 시장에 긍정적 작용을 할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중장기 대책인 만큼 재원조달 등 실효성을 담보한 속도감 있는 추진이 관건으로 지적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1, 2기 신도시 노후화와 자족기능 부족 속 3기 신도시 추가 개발로 인한 우려를 교통망 확충으로 다소나마 다독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3기 신도시 선호를 높이고 서울 등 집값을 안정시키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시그널”이라고 해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역시 “서울 및 수도권 등 대도시 주택가격은 주로 도심 접근성에 따라 결정되는 구조”라며 “도심까지 이동시간이 단축되는 만큼 외곽지역 주택시장의 주거 입지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트램처럼 대량 수송과 함께 교통체증을 유발하지 않는 교통망은 진작 도입했어야 한다”며 그동안 말이 많았던 1, 2기 신도시 중심으로 다각도 연결을 시도한 점을 평가했다. 박 수석전문위원 역시 “서울 주택 수요가 경기·인천 등으로 일부 분산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광역급행철도(GTX)나 트램 등 소요시간이 긴 사업이 대다수라 시장에 미치는 단기적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함 랩장은 “유통시설 확대와 임대료 변화 등은 준공 및 개통시기에 적용될 확률이 높아 단기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 교수도 “광역교통망에 대한 대략적 윤곽 수준인 만큼 각 지방자치단체의 구체적 안이 제시돼야 실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장기적 관점의 재원 확보도 요구된다. 함 랩장은 “대규모 광역교통망은 국비지원 외에도 지자체 재원의 조달이 필요한 경우도 있어 지자체 재정자립도에 따른 사업 속도 둔화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향후 토지 수용 및 보상 지연 문제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