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가 애물단지로 전락한 청주 에어로폴리스 항공정비(MRO)단지를 헬기 정비단지로 개발한다. 과거 핵심 파트너였던 아시아나항공이 발을 빼며 좌초된 MRO 단지 조성을 다시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2016년 12월 사업 포기를 공식 선언한지 3년만이다.
충북도와 청주시, 회전익(회전하는 날개로 움직이는 비행체로 통상 헬기를 지칭) 정비업체 ㈜포커스글로벌, 선진그룹, UI헬리콥터는 31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에어로폴리스 회전익 정비시설 설치를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사진)했다.
회전익 정비기업 3개사는 2023년까지 포커스글로벌 430억원, 선진그룹 1000억원, UI헬리콥터 570억원 등 총 2000억원을 투자해 회전익 정비를 위한 격납고, 부품창고, 훈련시설 등을 설치한다. 또 정비인력 1000여명을 고용할 계획이다.
정비 물량은 민간헬기뿐 아니라 국방부가 군용헬기 정비를 민간외주로 전환하면 수주해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은 민간 200대, 군용 800대 등 1000대에 달하는 헬기를 운영하고 있다. 헬기 정비업체를 한데 모으면 국방부가 추진 중인 군용헬기 항공정비 민간수주 경쟁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에어로폴리스는 고도 제한 등으로 대형 항공기 정비단지로는 적합하지 않아 충북도가 MRO단지 유치를 포기했다. 전문가들은 이곳이 헬기 정비의 적지라고 보고 있다. 헬기는 정비를 위한 이동시간과 거리가 늘어날수록 비용이 증가한다. 때문에 전국에서 접근성이 가장 좋은 청주가 최적의 장소라는 것이다.
도는 도내 항공정비 관련 학교와도 협력, 정비인력 양성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시종 지사는 “청주 에어로폴리스 지구를 명실상부한 회전익 정비산업 클러스터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