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모친 고 강한옥 여사의 장례가 별세 이틀째인 30일 조용하고 소박하게 진행됐다. 문 대통령은 내내 영정 앞을 지켰고 입관식도 지켜봤다. 문 대통령은 고인의 별세 이후 첫 메시지를 통해 “슬픔을 나눠주신 국민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다. 여야 정치인들도 빈소를 찾았다. 특히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빈소를 찾은 나가미네 야스마사 일본대사를 통해 위로전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인 김정숙 여사, 아들 준용씨 등 가족과 함께 부산 수영구 남천성당에 마련된 빈소를 지켰다. 장례는 친지들, 고인과 같은 성당을 다닌 신도들만 조문하면서 차분하게 진행됐다. 7대 종단 지도자들도 빈소를 찾아 유가족을 위로했다. 문 대통령의 정신적 지주인 송기인 신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도 빈소를 찾았다.
문 대통령은 영정 앞에서 조문객을 맞았고, 조문객이 뜸할 때는 기도하듯 두 손을 모으고 생각에 잠겼다. 손자를 안고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조문을 정중히 사양한다고 밝혔지만, 빈소까지 찾아온 야당 대표들은 돌려보내지 않고 조문을 받았다.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바른미래당 손학규, 민주평화당 정동영,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문 대통령을 찾아 위로했다. 정부에서는 이낙연 국무총리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이, 청와대에서는 김상조 정책실장, 윤건영 국정상황실장이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은 전날 밤과 이날 오전 두 차례 빈소를 찾았지만 조문하지 못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오거돈 부산시장, 양정철 민주연구원장, 김경수 경남지사,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도 발길을 돌려야 했다.
문 대통령은 SNS를 통해 고인을 추모했다. 문 대통령은 “다행히 편안한 얼굴로 마지막 떠나시는 모습을 저와 가족들이 지킬 수 있었다”며 “평생 돌아갈 수 없는 고향을 그리워하셨고, 이 땅의 모든 어머니들처럼 고생도 하셨지만 ‘그래도 행복했다’는 말을 남기셨다”고 했다. 또 “41년 전 아버지가 먼저 세상을 떠나신 후 오랜 세월 신앙 속에서 자식들만 바라보며 사셨는데, 제가 때때로 기쁨과 영광을 드렸을진 몰라도 불효가 훨씬 많았다”며 “특히 제가 정치의 길로 들어선 후로는 평온하지 않은 정치의 한복판에 제가 서 있는 것을 보면서 마지막까지 가슴을 졸이셨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 이별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자주 찾아뵙지도 못했다”며 “이제 당신이 믿으신 대로 하늘나라에서 아버지를 다시 만나 영원한 안식과 행복을 누리시길 기도할 뿐”이라고 덧붙였다.
나가미네 일본 대사뿐 아니라 주한 외교사절들도 빈소를 직접 찾아 애도 메시지를 전했다. 해리 해리스 미국대사와 추궈훙 중국대사, 나가미네 야스마사 일본대사, 안드레이 쿨릭 러시아대사 등 4강 대사가 모두 직접 조문했다. 특히 문 대통령이 지난 14일 아베 총리에게 태풍 ‘하기비스’ 위로전을 보내고, 다시 아베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모친상 위로전을 보내면서 양국 관계 개선 계기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발인은 31일이다. 고인의 시신은 장례미사 이후 부산 영락공원에서 화장된 뒤 경남 양산 천주교 공원묘지에 안장될 것으로 전해졌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