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오송 고속철도 복복선 사업 시 천안·아산역에 정차역을 설치할 경우 이용객이 2025년 기준 2만75명까지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비용 대비 편익(B/C) 역시 1.06으로 경제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남도는 28일 천안·아산 KTX역 회의실에서 평택~오송 복복선 구간 천안·아산 정차역 설치구상 및 타당성 분석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 1월29일 예타면제 대상사업으로 평택~오송 복복선 사업이 선정됐지만, 천안·아산 정차역은 사업에 반영되지 않았다. KTX·SRT의 첫 합류점인 천안·아산에 정차역이 없을 경우 철도망 활용에 제약이 발생하고 전 구간이 지하화 되면 안전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도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에서도 평택~오송 복복선 전 구간(45.7㎞)을 지하화 할 경우 안전에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 주요 쟁점이었다. 일반적인 고속철도 터널방재기준은 15㎞ 이상인 터널에 구난승강장(구난역)을 설치하게 돼 있다.
그러나 평택~오송 복복선 전체 구간에는 화재 등 재난에 대비한 구급차량 진출입 경사터널이 없을 뿐 아니라 환기구만 10곳이 계획돼 있다. 사고가 발생하면 대피·구조 지연으로 대형 피해가 발생할 개연성이 크다. 따라서 평택~오송 구간에 구난승강장을 설치해야 하지만, 사업비가 과다하게 소요돼 지상 역인 천안·아산역을 활용하는 방안이 최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정차역이 설치될 경우 역 이용인구가 1만1708명에서 2025년 기준 2만75명까지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자문위원들은 “현재 출퇴근 좌석 점유율이 98%에 달하는 만큼 향후 좌석 점유율을 분석해 정차역 설치에 대한 논리 개발에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천안=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