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이 국가균형발전이라는 조성 취지를 뒤흔드는 사업을 잇따라 펼쳐 큰 반발을 사고 있다. 한국농수산대학의 분교 추진과 행정안전부의 지방자치인재개발원 기능축소 논란에 이어 한국국토정보공사(LX)가 산하 기관을 경북에 설립하는 방안을 몰래 추진해 파문이 일고 있다.
22일 전북도에 따르면 LX 최창학 사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난 8월 ‘지적(국토정비) 기반 스마트 공간정보 산업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LX 무인항공기(드론) 교육센터 경북도 유치와 공간정보데이터센터 설립 등이 협약의 뼈대다.
이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자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은 “전북도민을 무시하고 뒤통수를 친 행동”이라고 강력 반발하고 계획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전북도의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LX는 국가균형발전이라는 혁신도시 건설의 근간을 훼손시키지 말고 드론교육센터를 전북에 설립해 지역 상생협력을 실천하라”고 촉구했다. 도의원들은 기자회견 후 LX를 항의 방문, 최창학 사장과 면담했다.
LX는 지난 7월부터 전북도와 드론교육센터 건립과 관련한 협의를 진행해 왔다. 남원과 진안 부안 등 8개 시·군이 적극적인 유치 작업을 펴왔다.
파문이 커지자 LX 측은 부지 선정은 결정된 바 없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보였다. 최창학 사장은 도의원들과의 면담 자리에서 “부지선정 관련 전국에 공모한 적이 없다”며 “혁신도시 건설 취지에 맞도록 할 것이라는 것이 처음부터 지금까지 변함없는 생각”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한국농수산대학은 지난 6월 경북 의성지역에 분교를 추진하다 지역 사회의 거센 반발을 샀다. 허태웅 총장이 “사실이 아니다.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논란의 불씨는 남아 있다.
지난 3월엔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이 도맡고 있는 ‘5급 승진후보자 교육’을 경기도가 자체 실시하겠다고 해 논란이 일었다. 행정안전부가 경기도의 계획을 승인 보류해 일단락됐으나, 여진은 남아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 국가균형발전 취지 흔들어 파문
입력 2019-10-22 1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