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째 중단된 금강산관광 재개를 위해 강원도민이 힘을 모으기 시작했다.
금강산관광재개범도민운동본부는 21일 강원대 백령문화회관에서 범도민운동 발대식을 갖고 1000만명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발대식에는 최문순 강원지사와 한금석 강원도의회 의장, 민병희 강원도교육감을 비롯해 도민 1000여명이 참석했다.
범도민운동본부는 강원민주재단과 강원교육공동체포럼, 남북강원도협력협회, 전농 강원연맹, 615남측위원회 강원본부 등 10여개 민간·사회단체가 포함돼 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미주회의, 미주민주참여포럼, 미주한인유권자연맹 등 해외 시민단체도 참여했다.
범도민운동본부는 발대식에서 “판문점·평양공동선언 등으로 조성된 한반도 평화 분위기가 북미 2차 정상회담 결렬 이후 교착상태”라며 “남북관계 회복과 남북협력사업 추진 기반 조성을 위해 운동본부를 결성했다”고 밝혔다.
서명운동은 범도민운동본부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서명과 함께 전국 각지에서 오프라인 서명을 동시에 진행한다. 서명 자료는 12월 말 백악관, 미국 의회, 유엔 대북제재위원회에 전달해 금강산관광 재개를 바라는 강원도민과 국민 열망을 알린다는 방침이다.
다음달 18일에는 고성 비무장지대(DMZ)에서 전국 민간·사회단체 대표 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범국민참여 평화회의를 개최한다. 평화회의에서는 금강산관광 재개 촉구 결의문을 채택하고 DMZ 박물관에서 통일전망대까지 거리 캠페인을 벌일 예정이다.
또 범도민운동 분위기를 전국에 확산시키기 위해 다음달 2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강원·서울·경기지역 민간·사회 단체 등 2만∼3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금강산관광 재개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국회의원과 평화전문가, 사회단체 등이 참여하는 국회 토론회 개최 및 국회 결의안 채택도 추진한다.
최윤 상임대표본부장은 “민간차원에서의 범국민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남북관계에 대한 정부의 입지를 넓혀주고 국제사회의 여론도 조성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금강산관광이 재개돼 한반도 평화경제 구상의 디딤돌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금강산관광은 2008년 7월 50대 여성 관광객 피격 사망 이후 중단됐으며, 이에 따른 고성지역 경제 피해만 38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해 9월 열린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서는 조건이 마련되는 대로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