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失政에도 지지율 흡수 못하는 상황 엄중히 인식해야…
인적 쇄신하고 정책대안 제시해야 신뢰 회복 가능
‘조국 파동’에도 불구하고 자유한국당의 지지율이 치고 올라가지 못하고 있다. 지난주 일부 여론조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50%를 넘어섰는데도 제1야당에 대한 지지는 전주와 비교해 제자리걸음이었다. 집권당의 잇단 실정(失政)에도 한국당이 지지율을 흡수하지 못하는 작금의 상황은 한국당이 대안정당으로서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민주주의가 확고하게 뿌리를 내리려면 집권당을 대체할 자격을 갖춘 믿음직한 야당이 존재해야 한다. 그래야 집권세력이 독선과 오만에 빠지지 않고 민심을 의식하게 된다.
한국당은 스스로를 냉철하게 되돌아봐야 한다. 지방선거 참패 직후인 지난해 7월 16%대까지 곤두박질쳤던 지지율이 30% 언저리까지 상승했다고 좋아만 할 일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떨어져 나온 지지세가 무당층으로 가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서민경제가 악화일로이고 잇단 인사 파동에 북핵 문제 및 남북 관계마저 삐그덕대는 등 여권이 악재 투성이인데도 한국당의 지지율이 좀처럼 오르지 않고 있는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청와대와 민주당이 점수를 잃고 있으니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면 착각이다. 과감한 혁신을 통해 대안정당의 면모를 갖추지 않는다면 한국당에 기회가 오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인적 쇄신이 절실하다. 지난 2월 27일 황교안 대표가 취임한 이후 당이 안정되기는 했지만 여전히 기득권을 대변하고 변화에 소극적인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벗지 못하고 있다. 친박·비박 등 계파 간 갈등도 잠복 상태로 해소되지 않았다. 내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던 중진들이 당 지지율이 오르자 입장을 번복하고 있다는 보도가 이어지는 것도 한심한 일이다. 국민들의 신망을 받는 참신한 인물 중심으로 세대교체를 이루지 못하면 또 한번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다.
정책 대안 제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청와대와 여당을 비판하는 것만으로는 지지를 얻을 수 없다. 조국 장관이 사퇴했는데도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는 지난 주말 광화문광장으로 달려갔다. 광장 정치는 지지층으로부터 환호를 받을 수 있을지 몰라도 확장성이 없다는 걸 왜 모르나. 검찰 개혁 법안 및 선거법 개정, 각종 경제·외교 현안 등에서 책임있게 대안을 제시하고 성과를 만들어내는 실력을 보여줘야 한다. 상대의 실정에 기대 반사이익을 챙기려는 태도로는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는 걸 알아야 할 것이다.
[사설] 한국당, 과감한 혁신·정책 통해 대안정당 면모 갖추길
입력 2019-10-21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