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전기차는 고속으로 도로를 달리면서 자동으로 충전된다. 도로는 스스로 미세먼지를 빨아들이고, 오염물질을 분해한다.
국토교통부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기술이 접목된 미래 도로상을 구현하기 위한 ‘도로 기술개발 전략안’(2021~2030)을 수립했다고 18일 밝혔다.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이 추진하는 도로 수명 연장, 입체 도로망 구축, 친환경 에너지 생산 등의 기술 개발에 우리도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의미다.
국토부는 안전성·편리성·경제성·친환경 등을 4대 핵심가치로 삼아 이와 관련한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과제를 선정했다. 4대 분야 목표는 교통사고 사망자수 30% 감축 지원, 도로 혼잡구간 30% 해소, 도로 유지관리 비용 30% 절감, 도로 소음 20%,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15% 감축 등이다.
흥미로운 내용은 4대 분야 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중점 추진기술에 있다. 무엇보다 전기차가 고속으로 달리기만 해도 자동으로 무선충전이 되는 도로가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현재 차량이 정지했거나 저속 주행할 때 무선충전이 가능한 기술을 연구 중인데, 고속으로 주행할 때도 무선충전이 가능한 도로를 구축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발열, 발광형 차선도 개발한다. 비가 많이 오거나 큰 눈이 내릴 때도 운전자가 차선을 쉽게 알아보도록 해 사고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도로를 보강하기도 한다. 재난이 잦은 도로를 분석해 ‘방재도로’로 지정하고, 개선할 계획이다. 태풍, 지진 등 대형 재난 시에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할 대책을 마련하겠단 뜻이다.
도로 스스로 환경 정화에 나서는 기술도 준비하고 있다. 도로 포장재에 오염물질 흡착 및 자가분해 기술을 적용해 미세먼지와 오염물질로부터 운전자와 보행자를 보호하겠다는 것이 국토부의 설명이다. 3차원(3D) 고정밀 측량 기술을 이용해 ‘조립식 포장 기술’도 선보인다. 공장에서 도로를 블록형으로 만들어 낡은 도로를 조립식으로 교체하는 방식이다.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해 가상 도로망을 구현하고, IoT 센서를 활용해 상황실에서 도로 상태를 점검하는 시스템도 마련한다.
김용석 국토부 도로국장은 “전략안을 토대로 연구개발 성과를 유도해 편리하고 안전한 도로 구축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