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퇴 후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은 45.5%, 민주당은 39.4%를 기록했다. 조 전 장관 사퇴 이후 중도층이 복귀해 지지율이 급반등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 대통령과 민주당의 지지율 상승은 긍정 평가할 일이라기보다 조 전 장관 임명을 고집했던 여권의 잘못된 판단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여권은 조 전 장관이 사퇴하면 핵심 지지층이 이탈해 지지율이 떨어지고, 레임덕이 시작될 것이라는 논리로 조국 수호 입장을 고수했다. 중도층이 떨어져 나갈 것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귀를 막았다. 설령 중도층이 떨어져 나가더라도 소수일 뿐이며, 떨어져 나간 중도층이 자유한국당으로 가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나중에 얼마든지 다시 잡을 수 있을 것이란 오만한 생각도 깔려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였다.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조 전 장관을 무조건 비호하는 것에 실망한 중도층이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바람에 문 대통령 지지율은 취임 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한국당에 비해 압도적 우위이던 민주당 지지율은 한국당과 거의 같아졌거나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역전됐다. 조 전 장관이 사퇴한 것도 대승적 결단이라기보다 버티고 버티다 밀려서 할 수 없이 사퇴한 것이란 점에서 좋게 평가하기 어렵다. 두 달 넘게 버티다 사퇴할 것이 아니라 진작 사퇴했으면 지지율 하락도 없었을 것이다.
문 대통령에게 일차적 책임이 있지만 민주당 지도부가 한국당에 조금도 밀리지 않겠다는 진영 논리에 빠져 조 전 장관 비호 입장을 강하게 고수했다는 것이 당 안팎의 얘기다. 다수 국민들의 사퇴 요구를 무시하고 여기서 밀리면 끝이라는 논리로 한국당과의 정파 싸움에 매몰된 것이다. 잘못된 판단을 하고, 이런 잘못에 대해 아직도 반성하지 않고 있는 민주당 지도부부터 책임을 져야 한다. 야당이 민주당 지도부 사퇴를 주장하고 있지만 야당 주장과 관계없이 여권 내부에서 당 쇄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조 전 장관 사퇴 요구를 야당 주장이라며 무시했던 것처럼 당 쇄신 요구를 또 무시하지 않기 바란다. 문 대통령에게 민심을 제대로 전하지 못한 청와대 참모들의 책임도 크다.
[사설] 여권의 잘못된 판단 확인시켜 준 지지율 반등
입력 2019-10-18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