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영역 아니지만 신뢰받는 언론 위해 자기 개혁 노력을”

입력 2019-10-15 04:07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와 관련해 언론을 향해 “신뢰받는 언론을 위해 자기 개혁의 노력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조 장관을 둘러싸고 확인되지 않은 의혹 보도가 쏟아지면서 언론 개혁의 필요성이 커졌다는 게 청와대의 판단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조 장관 사퇴 직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언론 스스로 그 절박함에 대해 깊이 성찰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조 장관이 후보로 임명된 이후 검찰발(發) 피의사실공표에 해당하는 기사와 ‘아니면 말고’ 식의 기사, 철저한 사실확인을 거치지 않은 기사가 많았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조 장관 사퇴와 별개로 언론 관행과 문화에 대해 생각해 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18일 국경없는기자회(RSF)의 크리스토프 들루아르 사무총장과 만나 “생각이 다른 사람들 간의 증오와 혐오, 너무나 빠르게 확산하는 가짜뉴스와 허위정보가 공정한 언론을 해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속보 경쟁, 그리고 서로 아주 극단적인 입장의 대립 등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며 “사실에 기반한 공정한 언론이 사회 구성원의 신뢰를 높일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다. 조 장관 가족 의혹을 두고 정치권이 상대 진영의 주장을 ‘가짜뉴스’로 규정하고 비난하던 상황에서 언론이 중심을 잡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가 나서서 언론을 탄압하던 시대가 지났는데도 언론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지지 않고 있다는 게 대통령의 판단”이라며 “조 장관 국면에서도 언론을 비판하는 국민의 목소리가 높았던 것이 사실이다. 고민해야 할 여지가 분명하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다만 “언론의 역할에 대해서는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다”면서 언론 스스로 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가짜뉴스 규제와 언론개혁은 다른 영역”이라며 “허위 정보로 사회통합을 해치는 가짜뉴스는 정부 차원에서 예방책을 마련하되 언론은 스스로의 자정 능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