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의 사퇴에 야권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히며 임명권자인 문재인 대통령에게 책임을 물었다. 조 장관 가족을 둘러싼 의혹을 규명하는 수사 역시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14일 입장문을 내고 “이제 문 대통령의 차례다. 국민적 상처와 분노, 국가적 혼란을 불러온 인사 참사, 사법 파괴, 헌정 유린에 대해 대통령이 국민 앞에 직접 통렬하게 사죄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대통령 스스로 계파 수장을 자임하며 국민을 편 가르고 분열을 부추긴 데 대해 반성하고 사죄하는 것이 마땅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같은 당 나경원 원내대표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필귀정이다. 늦었지만 결국은 예상대로 그만두게 됐다”며 “그러나 조국 사태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동안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민을 우습게 여겼던 이 정권이 사과해야 한다”며 문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와 오신환 원내대표도 “환영한다”는 입장을 냈다. 손 대표는 “조 장관에게 제기된 의혹들에 대한 수사는 모두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진행돼야 한다”며 “그동안 분열된 국론을 통합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 경제, 안보, 평화, 남북 관계 등 모든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오 원내대표는 “오늘날 이 사태를 만든 책임은 전적으로 문 대통령에게 있다”며 “문 대통령은 즉각 대국민 사과를 하고 강경론으로 일관하며 국민 분열을 부추긴 청와대 참모들을 경질하는 국정 쇄신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정의당은 유상진 대변인 명의 논평에서 “조 장관의 고심을 이해하고 존중한다”며 “이제 정치권은 조국의 시간을 멈추고 검찰 개혁을 위한 국회의 시간을 열어야 한다”고 밝혔다.
박주현 민주평화당 수석대변인은 “늦었지만 조 장관의 사퇴 결심을 존중하고 결단에 고마움을 전한다”고 했고, 장정숙 대안신당(가칭) 수석대변인은 “결정을 지체하며 이미 확인된 민심에 맞서 온 청와대와 여당의 리더십은 유감”이라고 비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