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이 지역인재 채용은 최하위권인데 비해 태양광과 수의계약 비리 등 방만한 경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광주시와 전남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 13곳 중 9곳에서 지난해 1698명을 채용했다. 이중 지역인재는 359명으로 21.1%를 차지했다.
가장 덩치가 큰 한전은 19.5%로 정부 권고 채용비율 18%를 겨우 넘겼다. 전국 평균 23.4%는 물론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평균에 못 미치는 수치다.
채용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인터넷진흥원 60%, 가장 낮은 곳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0%로 파악됐다.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의무채용 비율은 2018년 18%, 2019년 21%, 2020년 24%, 2021년 27%, 2022년 30%로 규정돼 있다.
반면 가족 등 차명으로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하다 적발된 한전 직원은 10명에 달했다. 지난해 감사원의 대대적인 감사 이후에도 한전의 태양광발전 비리가 줄어들지 않은 것이다. 감사원은 지난해 2월 발표한 한전 비리점검 감사결과에서 금품수수 등 태양광 비리에 연루된 한전 직원 38명에 대한 징계와 13명의 주의 조치를 요구하기도 했다.
한전은 또 퇴직자들이 만든 회사에 1997년 이후 23년간 7401억원의 수의계약을 체결해 특혜 제공 의혹도 받고 있다. 그동안 퇴직직원 모임 사단법인 한전전우회에서 100% 출자한 회사에 육상전력이 닿지 않는 섬 발전소 운영을 대부분 위탁해왔다는 것이다.
올해의 경우 계약금액은 618억원으로 1997년 47억원에 비해 13배 이상 늘었다. 그런데도 한전은 전문성과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섬 발전소 경쟁 입찰을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지어 금품수수로 해고된 직원이 운영하는 회사와 거액의 수의계약을 체결한 사실도 드러났다.
지난 11일 국감을 받은 한전은 19년 치 전력량계 19만4000대를 일괄 구매했다가 당장 폐기처분을 해야 되는 분량만 13만7000대(98억원 상당)에 달하는 등 방만한 물품구매를 해온 사실도 드러났다.
이밖에 한전이 2017년부터 올해 5월까지 접수한 공익제보(레드휘슬)는 총 221건으로 이중 직원이 친동생을 하도급 업체에 취업시킨 사례 등 54건이 사실 또는 일부 사실로 확인됐다.
한전 관계자는 “청렴·윤리 경영이 뿌리를 내리도록 앞으로 다양한 비리예방·감사 제도를 보완할 것”이라며 “향후 한전공대 개교 등 현안사업에도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