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일 서울대병원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직접고용을 결정한 후 다른 국립대병원들도 이러한 결정을 뒤따를 것이란 전망이 보기 좋게 빗나갔다. 나머지 병원들은 직접고용 등 정규직 전환을 위한 별다른 움직임이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강원대·경북대·부산대·전남대 등 지방 국립대병원은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 애초 개별병원에서 해결할 수 없고 서울대병원에서 방침이 정해지면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정작 서울대병원의 결정 이후 노동조합은 병원들이 기존 입장을 슬그머니 바꾸려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재범 보건의료노조 부산대병원 지부장은 “서울대병원을 제외한 지방국립대 병원끼리 자회사를 통한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으로 가기 위해 담합한 것으로 의심된다”며 “노사합의도 마쳤고 노동조합과 논의해야 하지만, 형식적인 회의에 그치고 병원에서 논의 자체를 거부하고 있다. 지방 국립대병원장들의 모임인 국립대병원발전협의회와 교육부만이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병원의 입장은 좀 다르다. A병원 관계자는 “당초 전망과 다르게 전혀 진전되지 않고 있다”며 “노조가 파업을 반복하고 있다. 언제든 다시 파업할 수 있는 불안감이 병원 내에 싹트고 있다”고 말해 정규직 전환이 더딘 이유를 노조의 책임으로 돌렸다. 이 관계자는 “최근 각 병원 단위로 협의하고 있다”며 “서울대병원이 국립대병원장들과 만남에서 이야기했던 것과 다른 결정을 내려, 누가 또 배신할지 모두가 주시하고 있다. 때문에 그만큼 의사결정이 늦어지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부가 이 문제에 대해 손을 놓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비판을 내놓고 있다. 정부가 정규직 전환을 요구했지만, 시기나 방법 등 구체적인 사항을 정해주지 않고 가이드라인만 제시했다는 주장이다.
노상우 쿠키뉴스 기자 nswreal@kukinews.com
서울대병원이 움직여도… 비정규직 직접고용 국립대병원 미적미적
입력 2019-10-13 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