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부터 스마트폰 데이터요금이 획기적으로 절약되는 ‘보편적 통신복지’시대가 서울에서 열릴 전망이다. 서울 전역에 4237㎞의 공공 와이파이망이 깔려 길거리에서도 무료 데이터를 쓸 수 있게 된다. 공공 사물인터넷(IoT)망도 서울 전역으로 확대돼 IoT 센서를 활용한 공유주차, 스마트 화재감지, 실종방지 등 ‘스마트시티’의 시민체감형 서비스가 전면 실행된다.
서울시는 자가통신망을 서울 전역에 촘촘하게 구축해 보편적 통신복지를 실현하겠다는 내용의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 추진계획을 7일 발표했다. 향후 3년간 총 1027억원이 투입된다. 완전개방형 공공와이파이망이 깔리면 서울 시민은 1인당 월 5만2000원, 1년 최대 63만원의 통신료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 전체로는 연간 3조8776억원의 사용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이를 위해 2022년까지 총 4237㎞에 이르는 자가통신망 ‘스마트 서울 네트워크(S-Net)’를 구축한다. 행정업무나 기반시설 관리를 위해 기관별로 자가통신망을 구축한 사례는 있지만, 대도시 전역에 와이파이를 구축하는 것은 세계 최초다. 자가통신망은 이동통신사업자 회선을 임대하지 않고 공공이 직접 구축하는 통신망(광케이블)이다. 임대망 대비 통신비용이 저렴하고, 한번 자가통신망을 구축하면 모든 행정분야에 무제한 연결이 가능하다. 시는 이를 기반으로 공공 와이파이를 현재 생활권 면적 31%에서 100%로 전면 확대한다.
공공 사물인터넷망도 서울 전역으로 확대한다. 대동맥에 해당하는 자가통신망과 모세혈관처럼 뻗어나가는 공공 와이파이, 사물인터넷망이 동시에 구축되면 모든 사람과 사물이 연결되는 ‘초연결 도시(Hyper-connected City)’가 완성된다.
S-Net 추진계획의 주요 사업은 자가통신망 구축, 공공 와이파이 조성, 사물인터넷망 구축 등 3가지다. 새로 확충되는 자가통신망 1354㎞는 와이파이 커버리지 면적을 감안해 직경 100m 간격으로 ‘ㄹ’자 모양으로 모세혈관처럼 구축한다. 효과를 극대화하고 설치비용은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공공 와이파이는 기존 주요 거리와 지하철, 공원 등 인구밀집지역뿐 아니라 복지시설, 커뮤니티 공간, 마을버스 등 시민생활권 구석구석으로 확대된다. 현재 7420개인 AP(무선송수신장치)를 2배 이상으로 확대해 서울시 생활권 면적 100%를 커버한다.
서울시는 최신기술 WiFI6를 적용해 속도를 6.9Gbps에서 9.6Gbps로 높이고 동시접속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WPA3를 통해 보안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물인터넷 기지국 1000곳을 신규로 구축해 향후 스마트시티의 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을 마련한다. 이렇게 되면 바닥에 부착된 IoT 센서를 활용한 공유주차, 위급상황 감지 시 자동으로 경찰에 신고하는 ‘스마트가로등’, 치매어르신과 아동의 위치정보를 활용한 ‘IoT 실종방지’ 같은 ‘스마트시티 서울’ 정책이 서울 전역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이번 계획은 삶의 필수재가 정보통신 데이터와 시민들의 통신기본권을 누구나 보장받아야 할 권리로 선언한 것”이라며 “세계 최초로 도시 전역에 모세혈관처럼 와이파이를 구축해 서울을 모든 사람과 사물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초연결 스마트시티로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