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통안전공단 “해양사고, 10년 내 절반 감축”

입력 2019-10-07 22:14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인천지사의 검사원들이 7일 인천의 한 조선소에서 선박 선체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해양교통안전공단 제공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 100일간의 활동 준비기간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출항한다. 앞으로 10년 안에 해양사고를 2018년 대비 50% 수준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잡았다. 해양사고예방센터 신설, 친환경 선박 인증 개발, 해양교통안전 통합정보 인프라 구축 등의 구체적 ‘액션 플랜’도 추진한다.

이연승 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7일 “출범 이후 100일 동안 해양사고 예방사업 전담 부서를 만드는 등 조직을 개편했다. 해양안전정책 개발, 해양교통 빅데이터 수집·분석, 사고 대응·예방 등 해양교통체계를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한 추진 기반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1일 해양교통안전공단이 출범하기 전까지 해양교통 분야의 정책을 지원하는 전담 기관은 없었다. 해양안전 유관 기관들이 기능을 나눠 수행해 한계를 안고 있었다. 일원화된 체계가 없어 효율적인 안전 대책을 현장에 적용하기도 어려웠다. 이에 2017년 12월 해양교통안전법이 발의됐고,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하면서 올해 공단이 설립됐다. 업무 유사성이 있는 기존 선박안전기술공단의 기능을 확대·재편하는 식으로 운영토록 했다.

해양교통안전공단은 100일 동안 조직 개편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해양사고 예방사업 및 해양교통체계 운영·관리 지원이라는 설립 취지에 맞게 기존 조직을 손봤다. 해양사고 감소 업무를 맡은 교통안전본부를 신설하고, 내년 60명의 증원 인력을 확보했다. 당초에는 400여명을 확보하려고 했지만 출범 초기인 만큼 차차 인력을 늘리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조직 정비를 마친 만큼 해양교통안전 정책 발굴 등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분산돼 있는 해양교통안전 기능을 하나로 모아 해양안전 시스템을 상향 평준화하는 게 해양교통안전공단의 목표다. 부산과 인천 등 권역별로 중소형 선박을 검사·안전점검하고, 종사자 안전교육까지 시행할 수 있는 ‘스마트선박안전지원센터’ 건립도 추진하고 있다. 가장 먼저 전남 목포 북항 부지에 세우기 위해 내년 예산에 설계비(6억6000만원)를 편성했다. 이 이사장은 “2020년 하반기 착공, 2022년 하반기 건립을 목표로 추진 중”이라며 “권역별로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지원해 연안 해양교통안전 인프라를 개선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