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계열사인 한전KPS가 1년 중 330일을 원자력발전소 정비 파견을 나간 직원에게까지 연구과제 직무급을 주는 등 방만한 운영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국민일보가 3일 자유한국당 김규환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한전KPS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한전KPS는 2017년 1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연구과제에 참여한 전문원이 아닌 일반 직원 67명에게 총 2억3375만원의 직무급을 지급했다. 1인당 평균 348만8800원을 지급한 셈이다. 해당 기간 한전KPS가 수행한 연구과제는 자체 연구과제와 수탁 과제를 포함해 총 48개였다.
특히 직무급 지급은 연구에 대한 참여율이나 기여도와 관계없이 이뤄졌다. 과제 책임자가 공문으로 직무급 지급 대상과 지급 기간을 임의로 정해 급여 담당 부서에 통보하면, 이를 근거로 직무급을 지급하는 식이었다. 책임자가 마음만 먹으면 연구에 참여하지 않고서도 연구과제 직무급을 받아갈 수 있다는 얘기다.
한전KPS는 한전을 비롯해 각종 발전사의 발전 설비 운영과 정비, 보수 등을 주로 담당하는 기업이다. 소수의 전문원을 제외한 다수 일반 직원들은 발전소 정비 등의 업무에 투입되는 구조다.
특히 직무급 수령자 가운데는 1년 중 11개월 가까이 원전 정비에 파견된 직원도 있었다. 이 직원은 2017년 한울 원전 원자로 냉각재 펌프(RCP) 예비전동기 분해점검, 월성 3·4호기 냉각재 펌프 예비전동기 정밀분해점검 등 정비용역에 투입돼 발전소에 파견돼 있었다. 연구과제 수행 기여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수행 기간 내내 직무급을 받은 것이다.
한전KPS는 최근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재직자의 친인척 39명을 포함한 사실이 감사원 감사에서 확인됐다. 감사원 감사에서는 한전KPS가 비정규직 채용 과정에서도 정식 공고 없이 재직자의 친인척과 지인을 통해 75명을 채용한 사실도 드러났다. 2017년에는 실제 근무하지 않은 일용직 근로자를 근무한 것처럼 꾸며 5억원 상당의 급여를 가로챈 한전KPS 직원 8명이 무더기로 경찰에 검거됐었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