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산업단지 중심으로 신종유해물질인 할로겐화 다환방향족탄화수소(Halogenated PAHs, Halo-PAHs)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국내에선 처음 측정된 물질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공학부의 최성득 교수팀은 울산 지역의 ‘대기 중 신종유해물질 분포’를 조사해 오염지도를 작성했다고 3일 밝혔다.
‘할로겐화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에 염소(Cl)나 브롬(Br) 등이 결합해 독성이 증가한 물질로 발암성이 확인됐다. 국내에는 이 물질에 관한 대기 기준이 아직 없다.
이번 연구는 울산지역 20개 지점에서 수동 대기 채취기를 이용해 시료를 채취·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신종 유해물질은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배출됐다. 산단 지역의 대기위해성은 기존에 알려진 유해물질만 측정했을 때보다 26%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측정된 유해물질은 대표적인 대기오염물질인 PAHs 13종을 비롯해 Halo-PAHs 35종 등이다. 35종의 Halo-PAHs는 염소화 PAHs 24종과 브롬화 PAHs 11종으로 나뉜다.
연구진은 유해물질 종류에 따라 지역적 분포가 다르다는 점도 함께 밝혔다. 염소화 PAHs는 석유화학·조선·비철 단지를 중심으로, 브롬화 PAHs는 석유화학·자동차 단지 부근에서 각각 농도가 높았다.
최성득 교수는 “울산 미세먼지는 농도가 낮아도 독성이 높을 수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울산=조원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