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자녀 논란’에 서울대 고교생 활동증명서 관리 강화

입력 2019-10-03 04:04

서울대가 조국 법무부 장관 자녀의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인턴 활동 진위 논란을 계기로 고교생에게 발급하는 활동증명서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서울대는 전산 시스템을 도입해 단과대학이 개별적으로 관리하던 고교생 활동증명서 발급 기록을 본부 차원에서 관리할 계획이라고 2일 밝혔다. 최근 조 장관 자녀가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인턴활동 증명서 허위발급 의혹을 받고 있는데 따른 후속 조치의 일환이다.

서울대는 또 논란이 되고 있는 ‘고교생 인턴제도’ 설치에 대해선 “아직 구체적인 준비는 되지 않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오세정 총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서울대에 ‘아는 사람’이 없어 인턴에 지원조차 할 수 없는 사람을 생각하지 못했다”며 “고등학생들이 고등학교나 교육청 같은 기관을 통해서 인턴을 신청할 수 있는 공식적인 채널을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서울대 내에선 학생들을 중심으로 비난 여론이 들끓었다. 일부 학생들은 “조 장관 자녀의 인턴 활동 진위를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고교생 인턴 제도를 신설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오 총장을 비판했다.

서울대는 또 학점이 우수한 학생들에게 지급하는 교내 성적장학금을 폐지하는 대신 소득을 기준으로 저소득 학생들에게 지급하는 장학금을 늘리기로 했다고 밝혔다.

서울대 관계자는 “다른 대학들도 성적 대신 소득을 중심으로 장학금을 지급하는 추세”라며 “이전부터 장학금 지급 기준을 논의해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오 총장은 언론 인터뷰에서 “교내 장학금은 성적 우수 장학금을 없애고, 형편상 필요한 사람에게 주는 가계 곤란 장학금을 확대하려고 한다”며 “내년부터 소득 1, 2분위까지는 생활비까지 충분히 장학금으로 주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서울대 내에선 성적장학금 폐지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학생은 서울대 동문 온라인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 “학업에 대한 동기부여가 사라질 수 있고, 소위 ‘사각지대’에 놓인 중간계층 학생들은 장학금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고 적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