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공공기관의 친인척 채용비리 의혹이 대부분 사실인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교통공사 등 5개 공공기관의 정규직(일반직) 전환자 10명 중 1명은 해당 기관에 4촌 이내 친인척을 두고 있었다. 친인척의 추천을 받아 면접만 보고 채용되는 식으로 불공정한 경로로 입사한 사람들도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감사원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공공기관 5곳을 상대로 실시한 ‘비정규직의 채용 및 정규직 전환 등 관리실태’ 감사 보고서를 30일 발표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공공기관의 친인척 채용비리 의혹이 불거지자 진행된 감사였다.
감사 결과 이들 기관의 정규직 전환자 3048명 중 333명(10.9%)이 본사 임직원과 4촌 이내 친인척 관계였다. 서울시 산하 서울교통공사가 192명(14.9%)으로 가장 많았다. 한국토지주택공사 93명(6.9%), 한전KPS주식회사 39명(16.3%), 한국산업인력공단 7명(4.3%), 인천국제공항공사 2명(33.3%) 등이었다.
감사원은 특히 서울교통공사의 정규직 전환 과정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제대로 된 평가 없이 관련 과정을 진행해 입사 경위가 불공정하거나 징계처분을 받은 사람도 별 문제 없이 정규직이 됐다는 것이다. 기존 임직원의 친인척으로, 면접만 거쳐 채용된 46명은 지난해 3월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감사원은 “서울시가 서울교통공사의 무기계약직 중 일부가 불공정한 경로를 통해 채용된 사례를 알고 있었거나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도 이들을 정규직 전환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마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서울시에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의 해임을 권고하고 부당한 방법으로 정규직이 된 이들에 대한 징계를 요구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감사 결과를 반박하며 재심의를 청구키로 했다. 강태웅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지난해 국감에서 제기된 서울교통공사의 ‘중대하고 조직적인’ 친인척 채용비리는 없었다는 게 명확히 확인됐다”며 “정규직 전환 과정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지적한 부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손재호 오주환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