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대규모 촛불집회로 지지층 결집을 확인한 여당은 한목소리로 검찰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검찰의 조국 법무부 장관 수사를 비판했다. 윤석열 검찰총장이 물러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촛불집회 다음 날인 29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일제히 검찰 개혁을 촉구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페이스북에 “그 자리에 함께하지 못한 국민의 마음속에 켜진 촛불까지 합치면 1000만일 수도 있고, 2000만일 수도 있을 것”이라며 “검찰 권력의 주인은 국민임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찰 개혁을 위한 국회의 시간이 앞당겨지고 있음을 직감한다. 주저 없이 임하겠다”고 사법개혁법안 처리 의지를 다졌다.
이재정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거대한 촛불의 물결은 검찰 개혁이 더는 미룰 수 없는 시대의 사명임을 선언했다”며 “오로지 자기 조직을 위해 개혁에 저항하는 검찰의 몽니를 국민이 더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 윤 총장 사퇴론도 언급됐다. 촛불집회에 직접 참여한 안민석 의원은 “이쯤이면 윤 총장이 스스로 거취 결정을 해야 한다. 윤 총장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하늘을 찌른다”고 페이스북에 썼다. 이종걸 의원은 집회 연단에 올라 “윤 총장은 스스로 정치검찰이었다는 것을 자인하라”며 사퇴를 외쳤다.
민주당은 조만간 당에 검찰 개혁 관련 특별위원회를 설치할 계획이다. 박찬대 원내대변인은 “특위를 발족해 법 개정 이전에도 할 수 있는 검찰 개혁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말했다.
여권 인사인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도 검찰 공격에 가세했다. 유 이사장은 지난 28일 경남 창원시 경남도교통문화연수원 강연에서 “(검찰이) 조 장관을 넘어 대통령과 맞대결하는 양상까지 왔는데 총칼은 안 들었으나 위헌적 쿠데타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자유한국당은 “검찰 수사를 향한 문재인 정권의 압박이 이성을 잃고 있다”며 “민주당은 집회 참가자 숫자까지 (200만명 참여로) 부풀리며 국민의 뜻 운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서초구청장을 지낸 박성중 한국당 의원은 “서초구에서 개최된 ‘서리풀 축제’에 참여한 시민들이 혼재돼 있었기 때문에 시위 참가 인원은 많아야 5만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한국당은 또 오는 3일 광화문에서 조 장관 사퇴를 촉구하기 위한 대규모 맞불집회를 열기로 해 세 대결 양상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바른미래당 이종철 대변인은 “국민들은 ‘범죄 피의자 조국’을 사수하는 것이 왜 검찰 개혁의 상징이 돼야 하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다”고 논평했다.
이제 쟁점이 조 장관의 적격성이 아닌 정권에 대한 찬반으로 넘어갔다는 분석도 나온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검찰 수사가 길어지면서 대통령 및 여당과 검찰의 갈등 구조가 심화됐다. 압수수색이 치명적 분기점이었다”며 “이제 문 대통령과 조 장관을 한데 묶으면서 지지층이 결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