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자택 압색이 도화선… 문 대통령 발언이 신호탄

입력 2019-09-30 04:02
28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동 중앙지검 앞에서 열린 검찰 개혁 촛불 문화제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28일 열린 제7차 검찰 개혁 촛불문화제에 대규모 인파가 모여 ‘조국 수호’를 외쳤다. 연인원 200만명(주최 측 추산)이 정확한 수치인지에 대한 의문은 있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촉구 촛불집회 이후 최다 인파인 것은 분명하다.

서초역을 중심으로 서초대로와 반포대로까지 1.6㎞ 구간을 가득 메운 이들은 조국 법무부 장관 가족을 둘러싼 검찰 수사를 ‘적폐’로 규정하고, 검찰 개혁을 이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16일 시작된 1차 집회부터 5차 때까지 참가자 수가 매번 1000명 안팎에 그쳤고 일주일 전 6차 집회에도 3만5000명이 모였던 것에 비하면 참가자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이다. 참가 인원이 갑자기 크게 증가한 이유는 조 장관 자택 압수수색이 여권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문재인 대통령의 27일 “절제된 검찰권 행사” 언급이 이들을 행동으로 옮기게 된 동력을 제공한 것으로 분석된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29일 “집회 현장의 주된 구호는 ‘정치검찰 물러나라’였다”며 “참가자 대부분은 검찰 수사를 문재인 대통령과 현 정권을 겨냥한 정치적 수사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택광 경희대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집회 말미에 터져나온 ‘문재인을 지키자’는 외침이 이번 촛불집회의 본질”이라고 했다. 그는 “공정·정의·평등의 가치를 중시했던 여권 지지층이 정권 레임덕을 막기 위해 조 장관 수사에서 드러난 문제들을 뒤로 미뤄둔 것”이라고 말했다.

집회 참가자 중에는 조 장관과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자녀의 입시부정 의혹을 다루는 검찰 태도가 상반되고, 검찰과 보수야당 간 유착이 여전하다는 점을 문제삼는 이들도 있었다. 집회에 참가한 황모(32)씨는 “같은 입시비리인데 조 장관 자녀들만 먼지 털듯 수사하는 건 공정하지 않다”고 말했다. 경남 창원에서 올라온 차모(47)씨는 “검찰이 압수수색 도중 조 장관의 전화를 받은 사실이 어떻게 야당에 먼저 흘러들어갈 수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주최 측인 사법적폐청산범국민시민연대는 다음 달 5일 집회에도 많은 인원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조효석 황윤태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