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사진) 청와대 정무수석은 26일 조국 법무부 장관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 “대통령이 한반도의 운명을 다루는 한·미 정상회담이 진행 중이니 검찰에 수사를 해도 조용히 하라고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했다”고 밝혔다. 청와대가 검찰 수사에 외압을 넣은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논란이 커질 전망이다.
강 수석은 이날 오후 전남 순천시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열린 2019 대한민국 균형발전 정책박람회 기조강연에서 “검찰은 말을 듣지 않았고 한·미 회담을 하는 시간에 우리가 보았던 일(조 장관 자택 압수수색)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검찰도 대한민국의 구성원이고 공무원인데 의도가 무엇인가 의문스럽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2일 유엔총회 참석차 출국한 지 하루 만에 검찰이 조 장관 자택을 압수수색한 것을 지적한 것이다.
강 수석의 발언대로 청와대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검찰에 조 장관 수사 관련 의견을 전달했다면 수사 개입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강 수석은 강연 이후 검찰에 어떤 방식으로 의견을 전달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알아서 생각하시라”고만 말했다.
이후 논란이 확산되자 검찰에 청와대의 의중을 전달한 ‘다양한 방식’이 자신의 페이스북을 뜻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강 수석은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를 위해 출국한 다음 날인 지난 23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우리 마음은 지금 뉴욕에 있다. 한·미 회담과 유엔총회에서 던져질 중요하고도 진전된 한반도 구상에 대해 트럼프와 국제사회의 큰 호응이 있길 기원한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누가 뭐래도 지금의 시간은 한반도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가는 데 진력할 때다”라고 덧붙였다.
강 수석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직접적으로 검찰에 의견을 전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또 ‘검찰의 의도’를 거론한 것과 관련해서는 “검찰 수사를 하라, 마라고 한 것이 아니다. 왜 하필 그 시기에 압수수색을 했느냐는 걸 지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수석은 이날 오후 7시36분 페이스북에 다시 글을 올려 “검찰에 직간접적으로 다양하게 전달했다는 것은 페이스북 글과 당에서 쏟아졌던 다양한 발언을 말한 것”이라고 재차 해명했다. 그러면서 “검찰 관계자 중 저한테 직간접적으로 연락받은 분이 있다면 손!”이라고 남겼다.
강 수석의 발언은 검찰을 향한 청와대의 분노가 한계치를 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는 해석도 나온다. 청와대는 검찰이 조 장관 인사청문회 직전 압수수색을 벌일 때부터 “검찰이 대통령 인사권에 도전하려 한다”는 불만을 드러내 왔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