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덕 보는 봉사·동아리 스펙 줄여야” 한목소리… 학종 폐지는 엇갈려

입력 2019-09-27 04:04

학생부종합전형(학종)에서 비교과 영역을 축소·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한 교육부 발표에 대해 교육·시민단체들은 엇갈린 반응을 내놓았다. 교육계는 대입 공정성을 해칠 수 있는 학종의 부작용에 대해 엄격한 실태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지만, 학종 존속 여부를 포함한 대안에 대해서는 다른 답을 내놓았다.

전문가들은 부모의 재력과 사회적 배경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는 비교과 활동을 평가 요소로 적극 활용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이범 교육평론가는 26일 “부모가 고졸인지, 대졸인지에 따라 학생의 교내외 활동 기회는 다를 수밖에 없다”며 “기회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도 비교과 영역은 줄여나가는 것이 맞는다”고 말했다. 구본창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국장도 “부모와 환경에 따라 차이 날 수밖에 없는 수상 경력, 자율동아리 활동, 자기소개서 세 가지는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꼼꼼한 ‘학종 실태조사’를 통해 그간 전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교육부는 이날 학종 비율이 높고 특수목적고·자율형사립고 학생을 많이 뽑는 대학 13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박소영 정시확대추진학부모모임 대표는 “학종으로 어떤 부정한 입학이 가능한지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며 “특혜와 비리가 드러난 대학은 학종으로 선발하지 못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경원 전교조 참교육연구소장은 “학종과 관련해 수도권 대학 전수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하지만 학종이 계속 유지돼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달랐다. 박 대표는 “평가 기준이 모호하고 심사자의 주관이 개입되는 비교과 등 학종으로 공정성을 확보하기는 어렵다”며 비판했다.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정성평가를 기반으로 한 학종의 불공정성은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며 “정시 비율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학종의 부작용은 줄이되 다면적인 능력을 평가하는 취지는 살려야 한다는 반론도 나왔다. 전 소장은 “협업 능력과 인성 등을 두루 평가하자는 학종의 방향은 맞는다”며 “예전처럼 시험만 잘 보면 된다는 식으로 회귀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