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미래포럼] “첨단산업에 열정적인 신남방 국가는 매우 매력적인 시장”

입력 2019-09-26 04:03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 겸 대통령 직속 신남방정책특별위원장이 25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 컨벤션홀에서 열린 ‘2019 국민미래포럼’에 참석해 ‘대한민국의 신남방정책 추진방향’이란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25일 “신남방 국가들은 단계적 성장을 원하지 않는다. 농업·경공업에서 정보기술(IT) 산업으로 개구리처럼 한번에 뛰어넘으려고 한다”며 “디지털 강국으로서 한국의 강점과 신남방 국가들의 발전에 대한 열망을 결합해 첨단산업 분야 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보좌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빌딩 컨벤션홀에서 열린 ‘2019 국민미래포럼’ 기조강연에서 “신남방 국가들은 30대 이하 인구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런 역동성이 스타트업 창업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싼 노동력을 바탕으로 한 제조업을 넘어 문재인정부 3대 경제기조 중 하나인 혁신성장 분야에서 한국과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간 협력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대통령 직속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고 있는 주 보좌관이 언론사 포럼에서 기조강연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 보좌관은 저성장 기조가 전 세계적으로 이어지고, 일본의 무역 보복 등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신남방정책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아세안과 인도는 4강(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위주의 무역에 치중해 있는 한국에 매력적인 시장이다. 주 보좌관은 “한국은 유니콘기업(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스타트업 기업)이 9개인 반면 아세안은 8개, 인도는 19개나 된다”며 “아세안과 인도 개척이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7년 11월 인도네시아를 방문했을 때 신남방정책 추진을 처음 공표한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2년4개월 만인 이달 초 신남방정책 대상 11개국(아세안 10개국과 인도) 방문을 조기에 마무리하는 등 아세안과의 관계 강화에 공을 들였다. 그 결과 2017년 1000만명이던 한·아세안 상호 방문객이 1년 만에 100만명 늘었고, 같은 기간 교역액도 100억 달러 증가했다.

주 보좌관은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를 통해 문재인정부의 신남방정책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이라 내다봤다. 청와대는 회의 기간 동안 인도네시아와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을 계획이다. 만약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한다면 남북 경협과 신남방정책 간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주 보좌관은 “2020년 이후 ‘신남방 2.0’ 정책까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남방 2.0으로 숙고 중인 주제는 신남방정책을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 및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정책과 조화시키고, 신북방정책 및 한반도 신경제지도와도 연계시키는 방안 등이다. 주 보좌관은 “아세안에 비해 인도에 공을 덜 들인 측면이 있다”며 “다음 달 인도 측과 고위급 핫라인을 만들어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